모기업 의존적인 중소기업의 협력관계를 다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6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중소기업 성장 촉진을 위한 협력관계 다변화방안' 보고서를 통해 "현재 우리 중소기업의 절반가량(47.9%)은 모기업 경기에 의존하는 납품기업"이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해외기업이나 다른 중소기업들과의 협력을 다양하게 모색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중소기업이 눈여겨 보아야 할 협력관계로 ▲중소기업이 개발생산하고 대기업 브랜드로 판매하는 방식인 ODM(Original Design Manufacturing) ▲중소기업간 공동기술개발·시장개척방식 ▲다른 중소기업에로의 아웃소싱방식 등을 꼽았다. 상의는 ODM에 대해 "중소기업은 제품을 개발·생산하는 역할을 맡고, 판매는 브랜드와 판매망을 가진 대기업에게 맡기는 방식"이라고 밝혔다. 이어 상의는 "다른 중소기업과 협력관계를 맺고,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품목의 생산을 위탁생산하는 방식의 중소기업간 아웃소싱도 활성화해야 한다"며 "중소기업들도 선택과 집중, 분업과 협력을 통해 성장원동력과 핵심품목의 경쟁우위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신제품 개발, 생산에 필요한 기술을 직접 개발하는 방식보다는 기술제휴나 공동개발 방식의 개발협력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중소기업들에게 정부의 지원에 의존하는 관행에서 벗어나 기업간 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구사할 것을 주문하는 한편 정부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지원제도를 운영해 줄 것을 주문했다. 이경상 대한상의 기업정책팀揚?"지난 10년간(1997~2007)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기업은 119개사에 불과하며,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성장한 기업은 2개 밖에 없을 정도"라며 "중소기업들이 국내외 기업들과 협력관계를 잘 형성해 시너지를 거둔다면 해당 기업의 성장은 물론 국가경제에도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