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질이 1+등급의 거세한우가 가장 많이 나오는 곳은 강원도와 김해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2009년 출하자의 시·도 및 시·군별 축산물등급 판정자료 분석결과 광역단체로는 강원도, 기초단체로는 경상남도 김해시의 거세한우에서 육질 1+등급이상의 출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결과는 지난해 등급판정한 한우거세우(24만3947마리)의 육질등급 출현율을 출하 농가의 주소지에 따라 시·도, 시·군별로 분류해 비교했다. 시·도별 비교 분석한 결과 강원도가 53.4%로 가장 높았으며 울산광역시가 52.4%, 경상남도가 51.3% 순이었다. 또 전국평균은 47.3%인 것으로 집계됐다. 또 시·군별로는 김해시가 65.3%로 가장 높았고 홍천군이 64.6%, 양평군이 61.2%의 순이었다. 강원도는 18개 시·군 모두에서 축산물브랜드화로 한우개량이나 고급육 생산을 촉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등급판정두수 중 사육농가 주소가 파악된 80만7000마리를 분석한 결과 사육농가당 평균 출하두수는 9.3마리로 전년(8.3마리)에 비해 1.0마리가 증가했다. 한우 사육농가는 평균 8.2마리, 육우 사육농가는 14.6마리, 젖소 사육농가는 평균 7.2마리를 출하했다. 한우의 경우 제주도가 농가당 출하두수 15마리로 가장 많았으며 인천이 12.6마리로 뒤를 이었다. 육우의 경우 충북도가 32.7마리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30마리, 인천이 24.3마리 순으로 조사됐다. 거세한우 출하두수가 많은 기초단체는 상주시(9784마리), 안동시(9654마리), 장흥군(8126마리), 안성시(7266마리), 횡성군(6740마리) 순이다. 거세 한우는 평균 30.3개월령에 출하했으며 육질 1+등급이상 출현율은 30~31개월령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