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9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제지·폐지·포장업계, 신문협회 및 소비자단체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폐지 관리시스템 선진화를 위한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지경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제지·폐지·포장업계와 함께 후진적인 폐지(폐골판지, 폐신문지)유통 관행과 폐지수출 증가(특히 폐골판지)에 따른 주기적인 수급 차질과 급격한 가격변동을 개선키로 했다.
이를 위해 국내 폐지 관리시스템 선진화 방안을 마련하고, 민관(民官)이 공동 참여하는 폐지 수급유통관리시스템을 올해 구축할 예정이다.
지경부는 또 2011년부터 폐지 품질관리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폐지 품질인증제도'를 도입한다. 품질이 인증된 폐지는 등급별로 색깔이 다른 인증라벨을 부착해 비인증 폐지와 구별하고, 구매가격도 비인증 폐지보다 높거나 최저가격을 보장해 제지업계가 우선 구매토록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오는 10월까지 정부 및 약 257개 제지·폐지업계, 포장업계 및 폐지 수출업계가 참여하는 재단법인 형태의 '폐지유통관리기구(가칭)' 설립을 추진한다.
폐지유통관리기구는 온라인 수급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해 국내 유통폐지의 수급상황과 가격동향을 실시간 점검할뿐만 아니라, 폐지 품질인증제도 도입에 따른 품질관리업무도 전담해 폐지 수급 및 가격안정을 맡게 된다.
그박에 폐지 유통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수도권을 비롯한 지역권역별로 폐지업체가 집적된 '폐지 공동집하장' 건설을 추진한다. 집하시설 건립자금은 저리 융자형태로 정부가 지원할 예정이다.
조석 지경부 성장동력실장은 "현재의 급격한 폐지가격 상승은 수요측인 신문·제지·포장업계는 물론 공급측인 폐지업계에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작년 11월 기존 민간 폐지유통관리기구의 해산으로 폐지 유통의 자율관리기능이 상실된 상황에서 이번 관리시스템 구축이 각 업계간에 서로 상생협력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