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섬 울릉도에서 1987년을 마지막으로 중단된 벼 모내기가 재현됐다. 밀짚모자를 쓰고 목에 수건을 두른 20여명의 농민들은 일일이 손으로 모를 심었다. 울릉도에서 36년만에 모내기가 이뤄진 순간이다.이날 벼를 심은 다랑논(1500㎡·450평)은 울릉군이 개척사테마파크를 조성하기 위해 사들인 것으로 예전에 논이었던 곳이다.1882년 울릉도 개척령 이후부터 벼농사가 시작된 울릉도에서는 천궁 등 약촌농사 증가로 벼 재배면적이 계속 줄다 1987년 완전히 중단됐다.재배면적이 가장 많았던 시기는 1977년도다. 48㏊ 논에 178t의 쌀이 생산됐다.시험연구사업의 하나로 진행된 이날 모내기에는 재배지 여건을 고려해 쓰러짐이 강하고 밥맛이 뛰어난 ‘운광벼’가 심어졌다.남한권 울릉군수는 “주민에게 아련한 옛 정취를 되살려주고 아이들에게 모내기와 벼 수확 등 울릉도만의 독특한 벼농사 현장학습장을 마련해 주고 싶었다”며 "첫 수확물은 10월쯤 생산될 예정이며, 수확된 쌀을 울릉도와 독도 홍보용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