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경제상황에 대해 대기업은 성장국면 이라고 인식한 반면 중소기업은 아직도 저점에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주요기업 281개사를 대상으로 ‘2010년 하반기 최고경영자(CEO) 경제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금이 본격적인 성장국면에 진입한 상황이라는 응답이 1000인 이상 대기업에서는 41.0%로 나타난 반면 중소기업은 3.7%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저점 진행 중’이라는 응답도 1000인 이상 대기업에서는 5.1%로 낮게 나타난 반면 중소기업은 33.2%로 높게 나타나 이러한 인식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각종 경제 지표가 경제위기 이전수준을 회복했음에도 불구, 실제 중소기업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경기는 아직 본격적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경제성장률은 5.0% 미만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63.4%로 조사됐다. 이는 기업들이 국내외 연구기관 전망에 비해 올해 성장률을 다소 보수적으로 전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경제성장률 전망치에 대해 4.5%라는 응답이 2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경제성장률 5.0%라는 응답이 26.3%로 집계됐다. 이를 기업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의 경우 5.0% 미만이 될 것이라는 응답이 52.2%로 나타났으나, 중소기업은 70.4%에 달했다. 경제의 조기 회복세로 기준금리 인상 등 적극적 출구전략의 시행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이를 당장 시행하거나 올 3분기에 시행해야 한다는 응답은 12.2%에 불과해 조기 시행에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이에비해 올 4분기에 시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25.8%, 내년 이후에 시행해야 한다는 의견은 62.0%로 조사됐다. 한편 당장 시행되는 경우 예상되는 영향에 대해 56.2%의 CEO들이 경제에 장단기적으로 모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했으며, 28.5%의 CEO는 단기적으로는 상당한 후유증이 있겠지만, 장기 안정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장기 안정성장에 기여하며 단기적으로도 큰 부작용이 없을 것이라고 응답한 CEO는 7.5%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당초(지난해 연말, 올 연초)전망에 비해 현 시점의 경제상황이 호전되었다고 응답한 CEO가 전체 응답의 44.8%로 나타났으며 30.2%는 당초 전망과 다르지 않은 수준이라고 응답했다. 전체적으로 호전되었다는 평가가 높았으며 사업장의 규모가 클 수록 당초 전망보다 경기 호조세의 체감도가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