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금융불안지수가 불안정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경제연구소가 23일 발표한 '금융불안지수'에 따르면 지난 5월 한국의 금융불안지수는 16.16으로 불안정 단계에 진입했으나 위기 수준인 31.93보다는 낮았다. 또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을 보였다. 연구소는 금융불안의 수준과 원인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국가 전체의 금융불안 정도를 보여주는 단일지표로 'SERI 금융불안지수(FSI)'를 개발했다. SERI FSI는 금융시장의 3대 구성요소인 자금중개시장, 외환시장, 주식시장의 불안 정도를 8개 세부지표를 통해 측정한 것이다. 분석 결과 SERI FSI는 올 3월 4.3에서 5월에는 전체기간 평균치(13.72)를 상회하는 등 리먼브러더스 사태 이후 금융불안지수 추이를 지속하고 있다. 금융불안지수가 상승한 원인으로는 외환시장의 기여율이 62.8%로 가장 높았고 주식시장(32.0%), 자금중개시장(5.2%)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금융불안에서는 1997년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비해 외환시장의 기여율이 높아진 반면 자금중개시장 기여율은 크게 낮아졌다. 특히 위기 이전에 비해 위기 이후 외환시장의 불안정성은 다른 나라에 비해 두드러지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변동률 표준편차로 본 한국의 외환시장 불안정 순위는 38개 통화 기준으로 위기 이전에는 13위였으나 위기 이후에는 34위로 급락했다. 순위가 낮을수록 환율변동성이 큰 것을 의미한다. 정영식 수석연구원은 "SERI 금융불안지수를 통해 파악한 결과 1996년 이후 한국의 금융위기가 반복되고 있다"며 "이는 금융시장이 거의 대부분 개방된 데다가 국내 외국인 자금이 유출입이 빈번한 주식자금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한편 연구소는 금융위기 재발 방지를 위한 방안으로 국내은행에만 적용되고 있는 외화유동성 규제를 외은지점에도 적용하고 핫머니에 대한 규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밖에도 외환거래 저변 확대와 시장조성자 육성 등 외환시장 구조를 개선하고, 금융기관의 글로벌 업무 역량을 확보해 실질적인 원화의 국제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