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는 23일 상생협력 및 공정거래협약을 체결한 3대 그룹 18개 대기업에 대해 이행실적을 평가한 결과, 포스코건설, 현대중공업 등 9개사에 대해 ‘우수’ 등급을, CJ시스템즈 등 5개사에 대해 ‘양호’ 등급을 부여했다고 밝혔다. ‘상생협력 및 공정거래협약(TCP)’은 대기업과 협력사가 공정거래 및 상생협력을 약속하고, 1년 후에 공정위가 이행상황을 점검·평가해 직권조사 면제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대·중소기업·정부 간의 삼각공조 상생프로그램(Triangle Cooperation Program)으로 현재 136개 대기업(홈쇼핑, 대형마트, 백화점 등 유통업 포함)이 5만6000여개 협력사와 체결한 상태다. 이번 평가 대상은 2008년 12월에서 2009년 3월 사이에 협약을 체결한 업체들이 대상이며 평가 대상 기업은 포스코그룹 9개사, 현대중공업그룹 3개사, CJ 그룹 6개사 등이다. 우수등급 기업은 포스메이트, 포스코건설, 포스코아이씨티, 포스코켐텍, 포스코플랜텍,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현대중공업, CJ 제일제당 등 9개사다. 또 양호등급 기업은 삼정피앤에이, 포스에이씨, 포스코강판, CJ시스템즈, CJ GLS 등이다. 이번 평가대상 기업들은 ▲바람직한 계약체결 가이드라인 ▲100% 현금성 결제 수단 ▲납품단가 조정절차 등을 내부규정과 계약서에 반영했다. 조사결과, 원자재가격 인상 등에 따른 납품단가 조정 실적은 1134개 협력사에 대해 총 1865억 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가대상 기업 모두 100% 현금성 결제, 상생협약이 상생문화에 기여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업의 자금지원은 포스코건설, 현대중공업, CJ제일제당 등 14개사가 671개 협력사에 대해 총 3903억 원을 지원했다. 이에 따라 공정위는 이번 평가대상 18개 대기업의 협력사에 대한 자금지원, 납품단가인상 등 총 지원효과는 약 6172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평가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우수 등급을 받은 포스코건설의 경우 협력업체의 안정적인 물량확보 및 글로벌 경쟁역량 지원을 위해 칠레, 중국, 베트남, 인도 등 해외시장 진출시 협력업체에 참여기회를 부여했다”며 “CJ 제일제당도 국제 원자재 가격 폭등에 따른 수급사업자의 경영난을 고려해 골판지 가격을 17% 인상해 줬다”고 말했다. 공정위는 앞으로도 공정거래협약이 확산되도록 유도하는 한편, 협약이행 평가에도 만전을 기해 대·중소기업간 상생문화 확산을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