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전 국무총리는 27일 검찰의 2차 소환통보에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후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무기한 농성에 돌입했다. 야당과 일부 시민사회 원로들도 검찰의 별건수사가 정치보복이라는데 뜻을 모으고 적극적 지지와 공동대응을 선언했다. 한 전 총리는 이날 오후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4월9일 무죄판결을 받은 때와 똑같이 이번 사건에도 결백하다"며 "검찰의 부당한 수사에 결코 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노무현 전 대통령을 죽음으로 몰고 간 이 정권과 검찰은 조금도 반성을 하지 않는다"며 "나의 별건수사 역시 노무현 대통령 때와 너무나도 빼닮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과거 독재정권이 자행했던 것보다 더 악랄한 정치보복이 지금 이 나라에서 버젓이 벌어지고 있다"며 "주변 사람들을 샅샅이 뒤지고 조사하고 괴롭히는 등 표적을 정해놓고 죄를 만드는 먼지털이식 수사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 전 총리는 "어떻게 해서든 한명숙의 정치생명을 끊어놓겠다는 광기와 살의가 느껴진다"며 "법과 정의를 위해 행사돼야 할 검찰권이 정치보복의 흉기로 변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과거 독재정권도 이런 식의 후안무치한 보복은 하지 않았다"며 "정말 사악하고 비열한 정권"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이번 싸움이 끝나면 또 다른 음모와 공작이 기다리고 있을지 모르며, 내가 쓰러지지 않으면 검찰은 칼날을 거두지 않을 것"이라며 "그러나 한명숙은 결코 쓰러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부당한 수사에 끝까지 당당히 맞서 싸우겠다"고 밝혔다. 이해찬 전 총리는 "이런 비열하고 치졸한 싸움을 언제까지 해야 하느냐에 대해 자괴감이 든다"며 "오랜 기간 민주화 운동을 해왔지만 이런 싸움이 대명천지에 터무니없이 이뤄지는 것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전 총리는 "단지 한명숙 사건만이 아니고 검찰개혁을 철저히 해야 한다는 책무를 느낀다"며 "이 싸움을 통해 검찰이 얼마만큼 무도한 짓을 했는지 보여주겠다"고 밝혔다. 그는 "(한 전 총리에 대한) 온갖 확인되지 않은 설들이 나오는데, 이에 대해 철저한 응징을 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지난번 검찰조사 당시 사실이 아니라고 했는데도 언론이 마치 허위사실이 피의사실인양 보도해 명예 실추에 일조했다"며 "이번에 다시 그런 일이 발생하면 내 명예를 걸고 바로잡겠다"고 덧붙였다. 이창복 민주통합시민행동 대표는 "이번 사태로 상당히 분노하고 충격을 받았다"며 "시민사회단체들과 협의해 이 문제에 대한 공동투쟁을 하겠다"고 밝혔다. '행동하는 양심'의 이사장을 맡고 있는 이해동 목사는 "이것은 한 전 총리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전 국민에 대한 위협이고, 공갈이고, 위해"라며 "나는 유신시대부터 민주화 투쟁을 해온 사람인데, 유신 때도 신군부때도 이렇게 무도한 검찰의 만행은 못봤다"고 말했다. 박주선 민주당 최고위원은 "한 사람을 정치 보복의 제물로 삼기 위해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와 서울지검 특수 1,2부가 동원되는 것은 전대미문의 일"이라며 "이 땅에서 억울한 사람이 범법자로 둔갑돼 낙인찍히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한 전 총리를 보호하고 지켜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은 "검찰의 행태는 조직폭력배가 하는 짓보다 더 비열하고 악랄하다"며 "이렇게 국가권력을 사유화해 정치에 사용하면 이명박 대통령 자신도 퇴임 후에 안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서진 창조한국당 신임 대표도 "(이명박 대통령이) 이렇게 정치보복을 하면 이 악순환을 어떻게 하려느냐"며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라도 이번에 싸워 이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