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30년께는 세계 경제에서 아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40%로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반면 높은 수출 의존도와 낙후된 금융 시스템, 미흡한 사회안전망 등으로 아시아 전역의 경제성장이 둔화될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기획재정부는 4일 세계경제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는 아시아의 미래에 대한 두 가지 시각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아시아의 대응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이같은 내용의 '아시아 경제를 바라보는 두가지 시각'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의 중심이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국, 중국, 인도 등을 중심으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등 20년 후인 2030년께는 아시아의 GDP가 G7을 능가하고 세계경제에서 아시아 GDP가 차지하는 비중도 올해 24%, 2020년 32%, 2030년 41%등으로 점점 높아질 것으로 분석했다. 또 경기 부양책의 효과가 일시적인 선진국과는 달리 아시아권 국가들은 생산가능 인구 증가로 인한 생산성 향상을 기반으로 경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밖에도 아시아 경제에 대한 긍정적 전망과 선진국에 비해 높은 금리조건, 양호한 재정건전성 등을 바탕으로 국제 자본 유입도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아시아의 미래에 대해 지나친 낙관을 경계하는 목소리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우선 중국에 대한 아시아 경제의 지나치게 높은 의존도는 중국 경제의 경착륙시 성장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밝혔다. 특히 중국의 부동산 거품 붕괴에 대한 우려 등이 현실화 될 경우 아시아 전역의 경제 성장이 둔화될 가능성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재정부는 이밖에도 금융위기 극복과정에서 나타난 아시아 지역의 내수성장은 인위적인 경기부양책에 의한 것이며 민간의 자생력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높은 실업률과 낙후된 금융시스템으로 인한 해외자본 유출입 등 충격에 취약한 경제 구조, 열악한 사회보장제도 등 미흡한 사회안전망 등은 경제회복에도 불구하고 민간소비와 투자를 제한하는 요소라고 평가했다. 재정부는 이와 관련 "자본유출입의 급격한 변동성을 완화하는 대책을 실시해 거시건전성을 강화해야 한다"며 "수출과 내수를 균형 발전하고 사회안정망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