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과반수 이상이 동물학대자에 대한 징역형 도입을 찬성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13일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지난 5월 한국갤럽에 의뢰해 실시한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동물보호법에 따른 처벌 강화에 대해 과반수 이상인 52.9%가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처벌 강화 방법으로는 벌금형 이외에 징역형을 도입하자는 의견이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유자 등에게 도덕적 의무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응답자(93.8%)가 동의했고,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법으로 규제해야 한다는 의견에도 81.7%가 찬성 의사를 밝혔다.
동물학대를 반대하거나 동물을 보호하는 것에 대해서는 71.1%가 관심이 있는 것으로 응답했으며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응답자 층에서는 90.4%로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우리나라 동물보호 수준을 선진국과 비교해 낮은 수준(62.0%)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동물보호법 운용에 대한 인지도는 응답자의 절반 수준인 54.7%(반려동물 소유자는 62.6%)로 나타나, 동물보호법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동물보호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정책 수단으로 동물보호 홍보(48.1%), 동물보호 교육(20.3%) 순으로 나타나 동물보호 교육·홍보 강화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의견이었다.
이와 함께 '반려동물 사육실태'를 보면 개나 고양이를 기르는 가정의 비율은 17.4%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94.2%의 가정에서 개를 기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육 가정 당 평균 사육 마리수는 개 1.47마리, 고양이 1.92마리로 고양이를 기르는 가정이 더 많은 수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을 기르는데 소요되는 비용은 월 평균 개는 6만1200원, 고양이는 4만4100원이었다. 반려동물 구입 경로는 '친지·가족·친구 등 아는 사람'을 통한 구입(56.6%)이 '동물판매업소'에서 구입(26.0%)한 것 보다 많아 가정에서 개체수 조절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들이 반려동물을 기르기를 희망할 때 유기동물 입양에 대한 입장은 59.2%가 찬성했으며,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응답자 층에서는 74.0%로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반면 유기동물 입양을 반대하는 이유로는 '유기동물은 질병에 걸려 있을 것 같다(26.3%)', '유기동물은 새로운 집에 적응하기가 어렵다(14.9%)' 순으로 나타났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이주호 원장은 "동물보호에 대한 의식이 예상보다 적극적이고 관심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며 "아직까지 동물보호·복지정책에 대한 개념이 생소한 만큼 동물보호의식 확산을 위해 대국민 교육·홍보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또 "동물학대 방지 및 농장동물 복지 도입을 위한 동물보호법령 개정 등을 통해 동물보호가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