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휴대폰에 프로그램을 내려받기만 하면 한국과 일본에서 모두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SK텔레콤과 KDDI, 소프트뱅크 등 한·일 3개 이동통신사는 15일 '한?일 모바일 페이먼트 서비스' 제휴를 추진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과 일본 양국의 3개 이동통신사들이 모바일 결제서비스와 모바일 쿠폰 서비스 등을 한?일 양국에서 모두 이용 가능한 환경을 구축한다는 의미다. 즉, 한국과 일본에서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던 고객들이 상대국을 방문했을 때에도 사용하던 휴대폰 그대로 모바일 결제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번 MOU로 한·일 양국은 서로 독자적인 방식으로 추진해오던 모바일 결제 방식과는 별도로 상호 호환 가능한 모바일 결제 방식을 새로 도입키로 했다. 그동안 한국에서는 이동통신사들이 USIM(범용가입자식별모듈)칩 기반의 콤비(Combi)카드 방식의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도입해 교통결제, 쿠폰 및 멤버십 할인 결제 서비스 등을 제공해 왔다. 콤비카드 방식은 단말기 내 별도의 장치 없이 USIM 칩에 RFID 기술을 적용하여 USIM카드만으로도 결제가 가능한 모바일 결제 방식이다. SK텔레콤의 금융 USIM칩을 사용하고 있는 고객은 5월말 현재 328만 명이다. 일본의 경우 FeliCa(펠리카) 방식을 이용해 신용카드, 쿠폰, 멤버십 및 교통결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펠리카는 2004년 7월 NTT 도코모를 시작으로 KDDI, 소프트뱅크 모바일 등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결제, 쿠폰 서비스에 활용되고 있다. 양국의 이통사들은 이번 MOU를 통해 기존 사용해온 콤비 카드 방식과 펠리카 방식 외에 국제 규격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근거리통신기술)를 적용한 모바일 결제 및 쿠폰 서비스 등 개발에 공동 협력키로 했다. NFC 방식은 2007년 국제 이동통신 통신 규격 협의체인 3GPP에서 모바일 결제 기술로 채택된 방식이다. RFID 기술이 적용된 별도의 NFC 칩이 단말기에 기본 장착되며, 상용 휴대전화 단말 출시는 올해 연말로 예상된다. NFC 기반의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구축 완료되면, 한?일 양국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휴대폰에 내려받는 간단한 절차만으로 모바일 결제가 가능하게 된다. 또 모바일 쿠폰, 멤버십, 상품권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들을 호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양국을 자주 왕래하는 고객의 경우 NFC 단말기를 활용, 편리하게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홍성철 SK텔레콤 서비스 부문장은 "한?일 이동통신사들이 모바일 결제 시장 활성화를 위해 힘을 합쳤다는 사실은 고무적"이라며 "모바일 결제 통합 솔루션인 T스마트 페이 솔루션을 일본 및 해외에 적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