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30나노급 D램 양산에 나선다. 30나노급 DDR3 D램은 지난해 7월 세계 최초로 양산에 들어간 40나노급 DDR3 D램에 비해 약 60%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제품이다. 50~60나노급 D램에 비해서는 원가경쟁력을 두 배 이상 확보할 수 있다. 때문에 삼성전자는 향후 전 세계 메모리반도체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전자는 30나노급 2Gb(기가비트) DDR3(Double Data Rate 3) D램을 이번달부터 양산하기 시작했다고 21일 밝혔다. 올해 안에 30나노급 4Gb DDR3 D램도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30나노급 DDR3 D램의 데이터 처리속도를 PC용 제품으로는 최고 속도인 2133Mbps(Megabit Per Second)로 구현했다. 이는 1333Mbps인 기존 DDR3 D램에 비해서는 1.6배, DDR2 D램에 비해서는 약 3.5배 빠른 속도다. 또 대용량 메모리 제품에 적합하게 설계돼 기존 제품 대비 소비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데스크톱 PC에 4GB 용량의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30나노급 2Gb D램 기반의 모듈은 시간당 소비전력이 1.73W(와트)에 불과하다. 현재 D램 시장의 주력제품인 50나노급 D램 기반 모듈(소비전력 4.95W) 대비 소비전력을 절반 이하로 낮출 수 있는 것. 서버에서도 30나노급 DDR3 D램을 채용하면, 시스템 성능을 더욱 높이면서도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차세대 제품 설계가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대형 서버 및 PC업체들과 공동으로 '그린(Green) DDR3' 프로모션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는 삼성전자가 서버업체들과 공동으로 지난해 9월부터 40나노급 D램 기반 제품으로 추진해 온 프로그램이다. 서버업체가 기존 60나노급 1Gb DDR2 D램 메모리를 40나노급 2Gb DDR3 D램으로 바꿀 경우 메모리의 소비전력량을 70% 이상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큰 효과를 둔 바 있다. 조수인 삼성전자 반도체사업부 메모리담당 사장은 "30나노급 D램으로 서버 고객은 물론 PC 고객에게까지 최고로 만족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