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늦어지고 있는 대구·경북(TK) 신공항 건설사업에 공동 시행자로 참여하는 방안을 대구시에 공식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숙원인 TK 신공항 건설은 대구시가 중심인 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 중이지만 자금조달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경북도의 제안이 돌파구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12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경북도는 지난주 대구시청을 방문해 'TK 신공항 성공추진을 위한 컨소시엄 구성'에 관한 업무협의를 했다. 도는 이 자리에서 TK 신공항 건설에 공동 사업시행자로 참여하고, 공동 위수탁 사업자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대구도시개발공사·경북개발공사 등 3곳을 포함하는 방안을 제안했다.이번 제안에는 대구시와 경북도가 공동 사업시행자가 돼 시중 은행에서 TK 신공항 건설에 드는 사업비 11조∼13조원을 장기로 대출받아 사업을 추진하는 내용을 담았다. 또 대구시와 경북도가 조달한 자금으로 LH 등이 공항 이전사업을 추진하고 향후 대구 동구에 있는 기존 K-2 군 공항 후적지 개발로 벌어들인 수익을 대출금 상환에 사용하는 방안 역시 포함했다.경북도는 TK 신공항 사업 추진이 여의찮은 상황에서 시간만 허비해서는 안 된다는 판단 아래 대구시에 이러한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경북도의 이번 제안은 TK 신공항 사업 성공을 위한 '큰 틀'만 제시한 것으로, 향후 기관별 업무 범위·책임, 사업 참여 조건 등 구체적인 내용을 마련해 나가기 위해서는 기존 사업 주체인 대구시 동의가 무엇보다 필수적이다.또 경북도 참여 안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국방부 등 관계부처 협의, 법령 개정 등 과정도 거쳐야 한다. 현행 'TK 통합 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에는 사업 시행자를 '후적지가 있는 지자체의 장'으로만 한정하고 있어 경북도가 참여하려면 '이전지가 있는 지자체의 장' 또한 사업 시행자가 될 수 있도록 개정해야 한다. 또 사업비로 쓴 대출금 상환을 위해 경북도가 어떠한 방식으로 K-2 군 공항 후적지 개발에 참여할지도 구체적으로 정해야 한다.대구시는 국가 균형발전과 지역 경쟁력 확보 등을 위해 2030년까지 군위군 소보면·경북 의성군 비안면 일대에 TK 신공항을 건설할 계획이다. 하지만 국토교통부가 담당할 화물터미널 등 민간 시설 외에 군 공항 건설에 필요한 사업비 11조∼13조원을 적시에 확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이와 관련해 대구시는 사업 기간 지방채를 여러 차례 발행해 정부 공공자금관리기금(이하 공자기금)에서 사업비 전액을 조달한 뒤 군 공항을 건설하고, K-2 군 공항 후적지를 개발해 사업비를 회수한다는 계획이다.작년 12월 국회는 대구시의 이러한 계획을 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TK 통합 신공항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1차)'도 가결했다. 하지만 공자기금 운용 결정권을 쥔 기획재정부가 형평성 등을 이유로 대구시 방안에 난색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구시는 TK 신공항 건설에 드는 사업비 일부를 국가 예산으로 지원해 달라는 내용 등을 조기 대선에 나선 각 정당 후보에게 건의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