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새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출범하고 당 전열 정비에 나서는 가운데 단일 지도체제와 집단 지도체제를 둘러싸고 당내 갑론을박이 예상된다. 당은 내달 1일 전국위원회를 거쳐 새 비대위원장을 임명한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의 임기가 30일 종료되는 데 따른 것이다.원내 지도부 관계자는 29일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은 송언석 원내대표가 겸임하는 방안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오는 8월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가 개최될 가능성이 유력하게 거론되는 상황에서, 주도적 권한 없이 두 달 남 짓 운영될 '관리형 비대위'를 맡을 마땅한 원내·외 인사를 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당은 전국위 소집 전 의원총회 등을 열어 송 원내대표를 신임 비대위원장으로 추대하는 절차를 거칠 것으로 보인다. 비대위원은 원·내외 모두에 열어놓되, 원내의 경우 초선·재선·중진 등 선수별로 구성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새 비대위는 전당대회 준비와 내부 혁신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안고 있다. 전당대회와 관련해서는 구체적 시기와 선출 방식을 포함한 지도체제 등이 주요 쟁점이 될 전망이다.당장 현행 단일지도체제를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할지 여부를 놓고 내부 의견이 갈리고 있다. 단일지도체제는 당 대표 '원톱' 구조로, 당 대표 선거와 최고위원 선거를 따로 치른다. 반면 집단지도체제는 대표와 최고위원들이 권한을 나눠 갖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선거도 한 번에 치러 최다 득표자가 대표최고위원을, 차순위 득표자들이 최고위원이 된다.구 주류세력을 중심으로는 '당 대표급' 인사들로 지도부를 구성하는 집단지도체제로 거대 여당에 맞서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지만, 당권 주자로 거론되는 김문수 전 장관과 안철수 의원, 한동훈 전 대표 등은 주류 세력의 기득권 유지 의도가 있다고 보고 부정적인 입장이다. 당 관계자는 "룰과 지도체제 등을 놓고 당권 주자들 간 치열한 신경전이 벌어질 것"이라며 "새 비대위가 내부 분열을 막고 다양한 의견을 하나로 모으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새 비대위는 내년도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 혁신 작업의 밑그림을 그리는 역할도 맡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서는 수도권 민심 복원이 필수적이라는 데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송언석 비대위' 출범 시 송 원내대표가 제안했던 혁신위원회를 당 기구로 띄워 쇄신안을 마련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앞서 송 원내대표는 조기 혁신위를 구성해 김 위원장의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 등 '5대 개혁안' 제안을 포함해 당 쇄신 방안을 논의하자고 밝힌 바 있다.다만 일각에서는 혁신위원장 및 위원 인선에 난항을 겪고 있는 만큼 혁신위를 구성하지 못하고 비대위 차원에서 혁신안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원내 관계자는 "송 원내대표가 의지를 갖고 혁신위 인선 작업을 하는 것으로 안다"며 "늦지 않게 혁신위 출범 여부 등이 결정될 것"이라고 전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