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공화국'이자 '서울 아파트 만사형통'인 대한민국에서 가계는 허리띠를 졸라매며 저축하고 대출을 영혼까지 끌어모아 집부터 사는 게 우선이었다. 그 결과 가계가 가진 평균자산 5억4022만원(2024년 3월말 현재·가계금융복지조사)중 75.2%(4억644만원)가 거주 주택 등 부동산이었고 금융자산은 24.8%(1억3378만원)에 그쳤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의 '2023년 국민대차대조표'를 보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 구성은 주택(50.3%), 주택 외 부동산(25.2%), 현금·예금(19.1%), 보험·연금(11.5%) 등이었다.이런 쏠림 구조의 부작용은 극심하다. 급등하는 서울 아파트값이 빚을 내서라도 사야 한다는 불안심리를 부추겨 가계부채 급증으로 이어졌다. 1929조원의 부채를 짊어진 가계는 소득의 1.75 배에 달하는 빚을 갚느라 소비 여력이 없어 내수 부진을 불러온다. 더구나 급증하는 부채는 작은 외부의 충격에도 금융 불안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한국의 민간 부채가 일본 거품붕괴 직전의 최고 수준에 근접했다는 한국은행의 경고는 흘려들을 일이 아니다. 정부가 주식시장과 금융시장을 정상화하고 이를 시중자금의 대체 투자수단으로 자리 잡게 함으로써 부동산에 쏠린 자금의 흐름을 유도하기로 방향을 잡은 듯하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일 국무회의에서 "투자 수단이 주택 또는 부동산으로 한정되다 보니까 자꾸 주택이 투자 수단 또는 투기 수단이 되면서 주거 불안정을 초래해 왔다"면서 "최근 금융시장이 정상화하면서 대체 투자 수단으로 조금씩 자리 잡아 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가 구체적인 유인책을 쓰지 않더라도 주식시장이 정상화하고 주가가 오르면 시중자금이 자연스레 흘러들게 마련이다.방법은 명확하다. 부동산시장의 안정과 주가 상승이다. 무리한 빚을 내서 지금 집을 사지 않으면 '벼락 거지'가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을 해소하고, 여유자금을 국내 주식에 투자해도 안정적인 수익을 내며 자산을 증식해나갈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주는 일이다. 3일 국회를 통과한 상법 개정안이 그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며칠 전 한 증권사가 발간한 보고서 제목처럼 '부동산을 뛰어넘는 한국 주식'이 실현되고 '코스피 5,000' 시대가 성큼 다가오기를 기대한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