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황룡사지에서 남서쪽으로 약 7㎞ 떨어진 망성리 가마터에서 ‘황룡(皇龍)’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황룡 명 문자기와’ 조각이 처음으로 출토됐다.고려시대 황룡사에 실제 기와를 공급했던 가마터임을 보여주는 직접적 유물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고대 사찰의 건축 재료 유통 경로를 밝힐 수 있는 결정적 실마리가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국가유산청과 국가유산진흥원은 국비지원 발굴조사를 진행 중인 ‘경주 망성리 384번지 유적’의 기와 가마터에서 ‘황룡(皇龍)’ 글자가 새겨진 기와를 발견했다.대부분의 가마는 소성실과 아궁이 일부만 남아있으나, 좁은 면적(512㎡)에 가마 13기(基)가 중첩되어 분포해 있다. 가마 안에서 다량의 기와 조각과 기와를 겹겹이 쌓은 흔적이 남아있어 당시 기와를 대량 생산하던 곳으로 판단하고 있다.이번에 출토된 ‘황룡(皇龍) 명 문자기와’는 길이 17㎝, 너비 15㎝ 정도의 작은 암키와 조각이다. 세로선 사이에 예서풍의 ‘황룡’ 글자가 좌서양각(左書陽刻)돼 있다. 이 글자 형태는 황룡사 남문지 동편 건물지와 강당지 북동편지구 출토품,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품 등과 동일하다.
국가유산진흥원 관계자는 "그동안 '황룡' 명 문자기와는 황룡사지 등에서 여러 형태가 출토된 적이 있으나 이번처럼 기와 공급지인 가마터에서 출토된 것은 처음"이라면서 "해당 기와가 고려시대 경주 황룡사에 실제로 공급됐음을 증명할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망성리 일대 가마터는 통일신라시대에도 궁궐, 황룡사, 사천왕사 등에 기와를 공급했던 곳으로 추정돼왔다. 이번 유적은 고려시대까지 그 명맥이 이어져 왔음을 보여주며 당시 기와 공급 체계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이번 발굴조사로 문자기와 외에도 주변 가마 내부에서 대형 일휘문(日輝文) 암막새(길이 38.7×너비 9.1㎝), 수막새(직경 20㎝), 대형 암‧수키와(길이 45.5~46.5㎝)도 함께 출토됐다. 이와 같은 대형 기와들은 황룡사지에서도 출토된 적이 있다.
황룡 명 문자기와는 글자 주변에 테두리가 없이 문양과 문자만 있는 형태이며 10세기 후기부터 13세기 전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함께 출토된 일휘문 막새류도 고려 중기 이후 유행하던 양식이다. 이는 '고려사' 예종 원년(1106년) 황룡사 중건 기록과도 일치해 이 가마터가 고려시대 황룡사의 수리와 보수에 쓰인 기와의 주요 생산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국가유산진흥원은 지난달 18일 망성리 유적에서 현장 설명회를 열고 유물 출토 성과를 일반에 공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