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엔 기사를 보고 내 눈을 의심했다. 지난 휴일(20일)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이 12·3 비상계엄을 옹호했다'는 온라인 기사를 접하고 전 비서관을 현 비서관으로 잘못 쓴 것이라고 생각했다. 국민이 맨몸으로 비상계엄을 막아내고 대통령 탄핵에 이은 조기 대선을 통해 새 정부가 탄생한 지 한달여가 지난 시점에 대통령 비서관, 그것도 국민통합비서관으로 임명된 사람이 '내란'을 옹호한 전력이 있었다니 놀라지 않을 국민이 있겠는가. 강준욱 국민통합비서관은 교수 시절이던 올해 3월 펴낸 책 '야만의 민주주의'에서 비상계엄을 "민주적 폭거에 항거한 비민주적 방식의 야만"이라고 했고,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해서는 "국민에게 상황의 답답함과 막막함을 알리는 방식으로 계엄을 선택한 것"이라고 썼다. 결국 강 비서관은 22일 자진사퇴했다. 강 비서관의 임용 과정에서 지난 3월 출간한 책과 그 내용이 일으킬 후과를 검증하지 못했다면 심각한 문제다. 책 내용을 알고도 그 여파를 제대로 판단하지 못했다면 대통령실 인사라인의 정무 감각에 더 큰 문제가 있다는 얘기다.대통령실은 이날 지명 철회 요구가 이어지는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보고서 재송부를 국회에 요청할 것이라고 했다. 강 후보자 임명 방침에 변함이 없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강 후보자를 임명해야 하는 이유를 국회와 국민에게 설명하기 바란다. 강 후보자의 여러 논란에 대한 대통령실의 입장이 뭔지도 명확히 밝힐 필요가 있다. 이런 과정이 없으면 강 후보자가 불신과 상처를 안은 채 장관직을 수행해야 한다. 기대했던 역할을 하기 어렵다.역대 정부를 보면 언제나 집권 초기 인사를 둘러싼 잡음이 위기 징후로 나타났다. 위기 신호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인사 실패'가 국정 초반 동력을 잃게 해 임기 내내 부담이 됐던 정부가 적잖았다. 이재명 정부는 역사에서 교훈을 찾기 바란다. 정권 교체는 대대적인 인사 쇄신이 뒤따라야 하고 그것은 국민의 바람이기도 하다. 그 과정에서 '실수'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실수였다면 빨리 인정하고 바로 잡으면 된다. 실수를 반복하거나 실수를 차일피일 키워 '실패'로 귀결되는 일이 없기 바란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