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첫 검찰 고위급 인사를 앞둔 24일 이 대통령 관련 대장동·백현동 개발비리 의혹 수사를 지휘했던 송경호(사법연수원 29기) 부산고검장과 윤석열 전 대통령을 내란 등 혐의로 기소했던 박세현(29기) 서울고검장을 비롯한 전국 지검장·고검장과 대검찰청 부장(검사장급) 등 주요 검찰 간부들이 잇따라 사의를 표명했다. 윤석열 정부 첫 서울중앙지검장으로 이재명 대통령 관련 대장동·백현동 개발비리 의혹 수사를 지휘했던 송경호(사법연수원 29기) 부산고검장은 이날 이프로스에 올린 글에서 "조만간 형사사법 시스템 개편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국민의 생명, 신체 보호와 직결된 형사사법 절차는 오직 국민의 편익 증진과 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력 강화를 최우선 목표로 설계돼야 한다"고 말했다.송 고검장은 2022년 5월 윤석열 정부 첫 서울중앙지검장으로 임명돼 야당 대표였던 이 대통령의 대장동·백현동 개발 비리 의혹과 '대선 개입 여론 조작' 의혹 사건 등의 수사를 지휘했으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 김건희 여사를 검찰청사로 소환해 조사하려고 시도하다 작년 5월 부산고검장으로 '좌천성 승진' 발령됐다.12·3 비상계엄 사태 수사를 위한 특별수사본부장을 맡아 윤 전 대통령을 내란 등 혐의로 기소했던 박세현(29기) 서울고검장도 이날 사의를 표명했다.박 고검장은 이프로스에 올린 사직 인사글에서 "최근 몇년간 우리는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형사사법 시스템의 실상을 직접 겪었고, 비상계엄 수사 과정에서는 그런 문제가 집중적으로 불거져 지켜보는 국민들을 한숨짓게 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도 변경에 대한 평가도, 개선 논의도 과연 국민의 권익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되는지의 관점에서 충분히 논의되고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박 고검장은 법무부 형사기획과장, 대검 국제협력단장, 서울중앙지검 전문공보관 등을 거쳐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에는 대검 형사부장과 서울동부지검장을 역임한 뒤 서울고검장에 임명됐다.윤석열 정부 출범 후 중앙지검 4차장으로 보임돼 송 고검장과 함께 대장동·백현동 수사를 이끌었던 고형곤(31기) 수원고검 차장검사(검사장)도 이날 이프로스 글을 통해 사직 의사를 밝혔다.정영학(29기) 부산지검장도 사직 인사글을 올리고 "검사의 일은 과분하고 힘들었다. 다른 사람의 불행을 다루는 일은 자신을 소모하지 않고는 하기 어렵다"며 "쉽지 않은 일들이 있었지만 선후배·동료 덕에 가파른 고개를 넘고 깊은 골짜기를 건넜다"고 소회를 전했다.대검 검사장급 참모진 중에서도 가장 선임인 전무곤(31기) 대검 기획조정부장도 이날 사직인사를 올리고 "검찰의 힘은 평검사들에게 있다. 어려운 상황이지만 힘 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