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에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은 안전하게 운영되고 있으나 사용후핵연료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은 없다. 원전 안에 임시로 저장하고 있어 2030년부터는 일부 원전에서 포화 상태에 이를 것이란 분석이다. 이에 따라 고준위 방폐장을 짓기 위한 특별법이 오는 9월 시행되는데, 방폐장 터 선정 과정에서 공정하고 합리적인 절차가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부지 선정 과정에서 법으로 보장된 국민의 참여와 결정권을 보장은 물론 모든 정보를 이해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국민의 수용성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다만 중저준위 처분장 건설 과정에서 빚어졌던 극한 갈등이 고준위 처분장 부지 선정에서는 그 이상으로 반복될 가능성이 큰 만큼 충분한 공론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상황에 따라서 지역의 의견 수렴을 하는 공론화를 다시 한번 할 필요가 있다. 그것을 기초해서 고준위 핵폐기물 전반에 대한 관리계획 정책을 다시 수립해야 한다. 원자력 가동 이후 차곡차곡 쌓여온 고준위 핵폐기물, 합리적이고 공정한 과정만이 방폐장 부지 선정이란 사회적 갈등을 해결할 수 있다.    한국 원자력환경공단(KORAD)은 정부의 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선정된 강원도 태백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용 지하시설 (URL) 부지를 두고 (사)한국원자력학회와 적합성 여부를 놓고 마찰을 빚고 있어 안타깝다는 반응이다. 한국 원자력환경공단은 (사)한국원자력학회가 지난 22일 '태백 연구용 지하연구시설(URL) 부지 선정에 대한 중대한 문제가 있는 것처럼 판단한 데 대해 거세게 반발했다. 공단은 같은 날 반박자료를 내고 "시추 조사 결과, 태백 URL 부지는 충분한 규모의 결정질암 (홍세사화강암)이 분포함을 확인했으므로 화강암이 아닌 복합 퇴적암층으로 확인됐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고 했다.    특히 “처분부지 선정작업에도 착수하지 못한 상황에서 ‘처분시설의 지질환경과 유사한 조건’을 전제·예단하여 부합 여부를 논하는 것은 시간적 선후 관계에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연구용 지하시설을 두고 학회와 공단이 다툴 일은 아니다. 머지않아 원전발전소에 쌓이고 있는 고준위 폐기물이 넘쳐나 심각한 방사능 오염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연구용 지하시설 (URL)이 시급하다. 이미 한국 원자력환경공단은 시추 조사에서 적합 판정을 내린 이상 지켜볼 필요가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