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추진 중인 서대구 하폐수처리장 지하화 사업이 당초 계획과 달리 ‘하수처리장만 지하화’하는 방식으로 축소되면서 행정적 혼선과 예산 낭비 우려가 제기됐다.대구시의회 김대현 의원(서구1)은 최근 시에 제출한 서면 시정질문을 통해 “애초 하수·폐수 통합지하화를 목표로 한 사업이 민선 8기 출범 이후 방향을 급선회하면서 행정절차를 처음부터 다시 밟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이 사업은 2020년 민자적격성 심사를 통과하고 2022년에는 협상대상자까지 지정됐지만, 염색산단 폐수처리시설이 지하화 대상에서 제외되며 기존 계획이 무산됐다. 김 의원은 “하수처리장만 우선 지하화하고 폐수시설은 나중에 따로 추진하면 총사업비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며 “예산절감을 앞세운 결정이 오히려 혈세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그는 특히 ▲단독 지하화 추진 일정 및 절차 ▲당초 통합안 대비 예산 및 규모 변화 ▲추후 폐수시설 별도 지하화 시 추가 비용 추산 등 구체적인 질의를 통해 시의 책임 있는 설명을 요구했다.그러면서 “주민들의 악취 민원 해소와 도시철도 순환선 계획과의 연계를 고려하더라도 폐수시설 지하화는 필수적”이라며 “정책 신뢰 회복과 장기적 도시계획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폐수시설 추가 지하화 사업의 타당성 검토 용역을 조속히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