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데헌(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열풍으로 K-컬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대구간송미술관이 관람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대구간송미술관은 7월 마지막 주 일 평균 관람객 수가 1500명을 넘어섰으며 이 중 48.7%는 대구 외 지역에서 방문했고 서울·수도권 관람객이 15.5%를 차지하는 등 전국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대구간송미술관 상설전시실에는 간송 전형필 선생이 ‘문화보국’정신으로 일생을 바쳐 지켜낸 우리 문화유산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전시가 마련돼 있다. 교과서에서 접할 수 있었던 신윤복, 김홍도의 작품은 물론 국보급 도자와 화첩이 대거 출품됐다.  전시장에서 가장 먼저 눈길을 끄는 작품은 도자다. 전시장 중앙에는 고려청자와 조선백자를 대표하는 국보 '청자상감운학문매병', '백자청화철채동채초충난국문병'이 500년의 시간을 넘어 나란히 마주하고 있다.    '청자상감운학문매병'은 완벽한 형태미와 정교한 문양으로 현존하는 고려청자 매병 중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백자청화철채동채초충난국문병'은 조선백자에서 사용되는 모든 안료와 다양한 조각 기법이 완벽하게 구현돼 조선 후기의 절제된 화려함과 기술력을 보여주는 대표작이다.   이 두 점의 국보 도자를 담고 있는 목재 진열장은 1938년 간송 선생이 직접 주문해 제작한 것으로 문화로 나라를 지키고자 했던 간송 전형필 선생의 뜻과 헌신적인 노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또 '혜원전신첩(국보)'에 담긴 신윤복의 풍속화 30점 중 '연소답청', '상춘야흥', '춘색만원', '소년전홍' 4점이 전시돼 있다. '혜원전신첩'은 한때 일본으로 유출됐으나 1935년 간송 전형필 선생이 오사카의 고미술상에서 발견하고 수집해 다시 우리 품에 돌아오게 됐다. 이후 체계적인 보존과 연구를 거쳐 1970년 국보로 지정됐다.  ‘간송의 방’에서는 문화유산 수집에 관한 자료들과 함께 대수장가이자 연구자, 교육자이자 예술가였던 간송 전형필의 다양한 모습을 만나볼 수 있다.   대구간송미술관 관계자는 “K-컬처와 우리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대구간송미술관 상설전은 방학을 맞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교과서에서 접할 수 있는 작품들을 실제로 감상하고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광복절을 앞두고 간송의 문화보국 정신과 삶, 일제강점기에 민족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분들을 다시 한번 생각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간송미술관 상설전은 매주 화요일부터 일요일(오전 10시~오후 7시)까지 관람 가능하다. 입장 마감은 오후 6시다. 관람료는 성인 6000원, 어린이·청소년 3000이며 대구시민 20% 할인 등 다양한 할인 혜택도 제공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