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업무에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AI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AI가 업무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키우면서, 2022년 말 이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최대 1%포인트(p) 끌어올렸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한국은행이 18일 공개한 'AI의 빠른 확산과 생산성 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생성형 AI를 한 번이라도 사용한 국내 근로자의 비율은 63.5%에 이르렀다. 사용 목적을 업무로 한정해도 근로자의 절반 이상(51.8%)이 AI를 쓰고 있고, 17.1%는 정기적으로 업무에 활용했다.한은은 보고서에서 "한국의 생성형 AI 업무 활용률은 미국(26.5%)의 약 2배 수준이고, 인터넷 상용화 3년 후 활용률(7.8%)보다 8배 높다"며 "이런 빠른 확산은 기반 시설과 AI의 범용성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조사 대상을 특성별로 나눠보면 남성(55.1%), 청년층(18∼29세·67.5%), 대학원 졸업자(72.9%)의 활용률이 여성(47.7%), 장년층(50∼64세·35.6%), 대졸 이하(38.4%)보다 높았다. 직업 중에서는 전문직(69.2%), 관리직(65.4%), 사무직(63.1%)이 AI를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우리나라 근로자들이 업무를 위해 생성형 AI를 사용하는 시간(주당 5∼7시간)은 미국(주당 0.5∼2.2시간)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하루 1시간 이상 AI를 사용하는 '헤비 유저' 비중도 한국(78.6%)이 미국(31.8%)의 두 배를 넘었다. 생성형 AI 활용 덕에 업무 시간은 평균 3.8%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당 40시간 기준으로 1.5시간 업무 시간이 줄어든 셈이다.한은은 이에 따른 잠재적 생산성 개선율을 1.0%로 분석했다. 이를 우리나라 GDP에 적용하면, 챗GPT가 출시된 2022년 4분기 이후 올해 2분기까지 GDP 성장률 3.9% 가운데 1.0%p가 AI 도입에 따른 잠재적 기여도로 추정됐다.다만 한은은 "이 수치(1.0%p)는 근로자들이 AI 활용으로 줄어든 업무시간에 여가를 즐기지 않고 추가적 생산 활동을 했다는 가정 아래 산출된 것"이라며 "따라서 근로자들이 줄어든 업무시간의 일부를 여가에 활용했다면 실제 생산성 향상 효과는 이보다 낮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생성형 AI 활용 이후에도 업무시간이 줄어들지 않은 근로자 비중도 54.1%에 이르는데, 향후 더 많은 근로자가 AI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 생산성 향상 효과는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조사 대상 근로자의 48.6%는 "AI가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32.3%의 근로자는 'AI 기술발전 기금'에 참여할 의향도 밝혔다. 한은은 "평균 지불 규모 관련 조사 결과까지 반영하면 향후 5년간 38조원의 기금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민·관 협력 기반의 사회적 투자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해석했다.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5월 19일부터 6월 17일까지 전국 만 15∼64세 취업자 551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