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교육청이 2023년 하반기부터 폐교를 지역 공동체의 새로운 거점으로 되살리기 위한 ‘폐교 활용 공모사업’이 농업법인 운영과 평생교육 공간 마련 등 지역 경제와 공동체 회복의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폐교 활용 공모사업은 폐교를 지역 주민단체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소득 증대시설이나 공동이용시설로 활용할 경우 무상으로 빌려주는 방식으로  유휴 공간 재활용을 넘어, 지역의 공동체 정신과 생활 인프라를 복원하는 ‘지속 가능한 공존의 실험’으로 주목받고 있다. 단순한 재산 처분이 아닌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목표로 한 정책으로 유휴자산을 공유자산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접근으로 평가받는다.지난해 6월 사업계획 수립 이후 7~8월까지 공모를 진행해 총 10건의 신청서를 접수했다. 이 중 활용 목적의 적정성, 실현 가능성, 효과성 등을 중심으로 심사를 진행해 4개 폐교를 최종 선정, 2년간 무상 대부계약을 체결하고 필요시 1회 1년 연장도 가능하다.경북교육청 폐교 활용 공모사업을 통해 선정된 네 곳의 폐교는 지역의 손길과 아이디어로 새롭게 태어났으며, 각기 다른 마을의 필요와 자원에 기반한 사업들은 단순한 공간 재활용을 넘어, 지역경제와 공동체 회복의 중심축이 되고 있다.특히, 구미시 해평초등학교 향산분교장은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농업법인이 운영을 맡아 스마트팜 기반 농업시설과 마을 평생학습 공간으로 전환, 디지털 기술 기반 농업과 교육이 결합한 농촌의 미래형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임종식 경북교육감은 “폐교 활용사업을 통해 단순히 공간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마을의 삶과 가치를 회복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공간을 제공하고 마을은 생명을 불어넣는 상생의 모델이 계속 확산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