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검찰청인 서울중앙지검 1·2·3차장은 물론 대검찰청과 법무부 등 주요 부서의 간부들이 모두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재명 정부의 첫 검찰 중간간부 인사가 21일 단행됐다.  검사의 외부기관 파견 자리는 줄어들고, 여성 중간간부의 비율은 대폭 상승했다.앞서 검사장급 이상 검찰 고위간부 인사를 통해 대대적인 인적 쇄신을 한 데 이어 실무를 책임질 중간간부 인사에서도 전면 쇄신을 통해 새 정부 정책기조에 맞춘 동력을 확보하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법무부와 검찰은 기존의 검찰 기능 개편과 조직 변화를 통한 대대적인 개혁을 앞두고 있다. 법무부는 이날 고검검사급(차장·부장검사) 665명, 일반검사 30명 등 검사 695명에 대한 전보 인사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발령일은 오는 27일이다.전국 최대 검찰청의 '2인자' 이자 최선임 차장인 서울중앙지검 1차장은 최재아(사법연수원 34기) 김천지청장이 맡게 됐다. 중앙지검 사상 첫 '여성 1차장'이다.최 차장은 서울중앙지검 검사로 임관해 서울북부지검 검사, 법무연수원 용인분원 교수를 거쳐 대검찰청 검찰연구관, 법무부 법무과장, 서울남부지검 여성아동범죄조사부장을 지냈다.2차장은 장혜영(34기) 부산서부지청 차장이, 3차장은 박준영(34기) 수원지검 형사1부장이 각각 새로 임명됐다. 과거 특수부인 반부패수사부 등 직접수사 부서를 지휘하는 4차장에는 이준호(34기) 중앙지검 공보담당관이 보임됐다.기존 서울중앙지검 1·2·3차장은 모두 검사장 승진이 좌절되고 다른 곳으로 자리를 옮겼다. 통상 중앙지검 차장검사는 성남지청장, 서울동·남·북·서부지검 차장과 함께 검사장 승진에 가장 앞서있는 후보군으로 인식돼왔다. 공봉숙(32기) 2차장은 서울고검 검사로, 이성식(32기) 3차장은 대구고검 검사로 좌천성 발령됐다. 박승환(32기) 1차장은 의원 면직됐다.대검찰청 중간간부들 역시 '새 얼굴'로 전면 교체됐다. 대검 정책기획과장에는 나하나(36기) 중앙지검 기획담당관이 새로 보임됐다. 이 보직을 여성 검사가 맡은 것은 검찰 역사상 이번이 처음이다. 나 과장은 서울동부지검 검사로 임관해 법무부 검찰국 검사, 형사기획과 팀장을 거쳐, 대검 디앤에이·화학분석과장을 지냈다. 대검 기획과장은 검찰 내 대표적인 기획통이 배치되는 자리로 동기 중 가장 우수한 자원이 배치되며 기획 등 업무능력을 인정받아 가는 자리다. 국내 외부기관의 검사 파견 보직은 기존 35석에서 28석으로 감축됐다. 파견감축 기관은 국정원(2석), 감사원, 법제처, 환경부, 방송통신위원회, 헌법재판소 등이다. 
 
법무부는 "이번 인사는 국민과 국가에 헌신하는 자세와 뛰어난 실무 능력을 갖추었는지에 주안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정한 법 적용에 대한 의지를 갖추고 그동안의 업무수행 과정에서 균형 있고 충실하게 사건을 처리했는지도 고려했다"며 "전문성과 실력, 인품을 두루 갖춘 여성 검사들을 주요 보직에 다수 발탁했다"고도 강조했다. 
 
작년 하반기 인사 직후 법무부·대검·서울중앙지검의 차장·부장급 여성 검사 비율은 25%였지만, 이번 인사를 통해 42%로 대폭 증가했다는 게 법무부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