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이 심각한 수준이다. 지자체마다 지방시대를 외쳐도 지방에는 청년이 없다. 지역마다 공통된 탄식이다. 청년들이 양질의 일자리와 자녀 교육을 위해 도시로 나가 청년이 없는 농촌에는 빈집이 늘어나고 초고령화에 휴경지가 늘어나고 있다.
공동화는 ‘지방소멸’이라는 위기의 실체가 됐고, 미룰 수 없는 급박한 대응의 시점을 맞고 있다. 청년이 떠나지 않는 지방, 청년이 돌아오는 지방을 만들기 위한 전환의 시간이 바로 지금이다. 청년들이 지방을 떠나는 주된 이유는 일자리, 교육, 주거, 문화 등 종합적인 생활 환경의 부족이다.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된 자원은 기회의 격차를 심화시키고, 지방의 청년들에게 ‘떠남’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현실은 지방자치단체가 ‘청년이 머물고 싶은 지역’을 만들기 위해 전면적인 정책 전환과 실천을 요구받고 있음을 뜻한다.
경북도는 2025년 경북 청년 정책참여단 위촉식과 발대식을 갖고 경북이 주도하는 지방시대에 청년이 행복한 경북도가 되도록 행정력을 쏟고 있다. 경북 청년 정책참여단은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청년의 시각에서 정책과제를 발굴하고 정책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공모로 선정했다. 
 
일자리, 주거, 정책연구, 문화, 지역사회 기여 활동 등 청년이 제안한 주제를 심사해 최종적으로 12개 팀 67명이 선정되었으며, 정책 제안에 따른 팀별 활동을 통해 정책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경상북도는 청년 정책참여단을 통해 청년들의 정책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청년들이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제부터 지방자치단체가 해야 할 일은 명확하다. 산업과 일자리 중심의 청년 유인책이 필요하다. 지역 산업과 연계한 청년 특화 일자리 창출, 공공기관 연계 청년고용, 디지털·그린·문화콘텐츠 등 미래 산업을 기반으로 한 청년창업 육성이다. 
 
주거와 생활의 질을 높이는 복합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 청년 임대주택 공급과 원룸형 공공주택 확대, 청년 주거비 지원과 같은 현실적인 주거 대책이 필요하다. 문화·예술·여가 공간 조성, 청년 커뮤니티 공간 확충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
청년에게 “떠나지 말라”고 말하기 전에 청년의 삶 전반을 설계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주는 것이 진정한 ‘지방시대’의 시작이다. 청년이 머무는 도시가 결국 살아남고 성장하며, 다음 세대까지 품을 수 있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청년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할 때, ‘지방소멸’은 ‘지방부흥’으로 바뀔 수 있다. 경북도의 청년 정책참여단이 기대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