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가 뜨기 시작했다.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문화 분야 장관급이 머리를 맞댔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경주시에서 열리는 이번 고위급대화는 경주가 가진 풍부한 문화 경험과 창의성을 세계와 나누는 계기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고위급대화를 통해 문화가 경제를 견인하는 새로운 협력의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6일부터 28일까지 최휘영 장관이 주재하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문화산업 고위급대화’는 APEC에서 문화산업 분야 장관급 인사가 한자리에 모이는 최초 회의가 되고 있다. 
 
동시에 경제의 주요 분야로 문화산업의 가치를 받아들인 것이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첫 개최임에도 불구하고 주요 21개국 회원경제체 수석대표가 참석하는 만큼 역내 문화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을 재확인했다.
경제체인 에이펙의 특성을 감안해 관련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민간 전문가들도 고위급대화에 참여했다. 제1회 두바이 국제 인공지능(AI) 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한 권한슬 영화감독을 비롯해 이교구 서울대학교 교수 겸 수퍼톤 대표(CEO), 이브 다코드 Edgelands Institute 회장이 분과별 주제발표자로 나서고 제이와이피(JYP)엔터테인먼트 박진영 최고창의력책임자(CCO)는 초청 연사로 참여해 문화산업의 가치와 미래에 관해 심도 있는 논의 시간을 가져 눈길을 끌었다.
문화창조산업 분과에서는 ‘APEC 경제협력의 새로운 촉매제로서의 문화창조산업을 에이펙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인식하고 이를 통한 지역 성장 기회로 삼는다. 회원 경제체의 문화창조산업이 문화-기술-산업 간 연계를 촉진한 사례도 공유했다.
 
 ‘디지털‧인공지능(AI) 혁신이 주도하는 문화창조산업 발전’ 분과에서는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이 문화창조사업의 전 단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문화창조산업을 통한 APEC 공동체의 조화로운 발전’ 분과에서는 더불어 지속 가능한 APEC 역내 협력 체제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고위급대화’의 주요 성과로 회원 경제체들은 문화창조산업 분야에서 역내 지속적 협력에 대한 의지를 반영한 결과문을 채택했다. 이는 향후 APEC에서 문화창조산업을 경제 성장의 동력으로 발판 구축을 마련한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