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년보다 더 일찍 전역하기 위해 명예전역을 지원한 군 간부가 총 2천500여명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31일 국방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명예전역을 지원한 간부는 장교 782명, 부사관 1천720명 등 총 2천502명이었다.명예전역수당 지급을 위해 국방부가 미리 추산한 예상 인원(1천363명)보다 배로 많았다.이 중 심사를 거쳐 명예전역자로 최종 선발된 인원은 장교 720명, 부사관 1천216명 등 총 1천936명이었고, 나머지 566명은 명예전역 심사에서 탈락했다.명예전역은 20년 이상 근속한 군인 중 정년 전에 자원해서 전역하는 제도로, 정년까지 남은 기간에 따라 일정 규모의 명예전역수당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지난해 명예전역수당으로 총 1천360억원이 지급된다.최근 5년간 명예전역 지원자는 2020년 1천176명, 2021년 1천241명, 2022년 1천743명, 2023년 2천364명, 지난해 2천502명 등으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특히 부사관 명예전역 지원자는 2020년 609명에서 지난해 1천720명으로 약 3배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올해 8월 현재까지 접수된 명예전역 지원자는 장교 738명, 부사관 1천563명 등 2천301명 규모였다.명예전역 지원자가 해마다 느는 것은 군 간부들의 열악한 처우와 그에 비해 높은 업무강도로 기인한다.한국국방연구원이 지난해 임관 5년차 이상 간부 중 희망 전역 예정자 4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희망 전역 결심 이유로 '업무강도 대비 낮은 금전적 보상'(22.5%), '부대관리·행정업무 위주로 복무의 보람 상실'(20.1%), '병 봉급 상승 등으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10.6%), '근무지 이동으로 인한 가족과의 별거'(9.6%) 등이 꼽혔다.가뜩이나 저출생·고령화로 병력 자원이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군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견 간부들마저 명예전역으로 조기 이탈하게 되면 부대운영에 차질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