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동성로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핵심 사업이자 전국 최초 지역-대학 상생 모델인 ‘도심캠퍼스’ 2학기 강의를 본격 확대 시행한다고 2일 밝혔다.올해 2학기 도심캠퍼스에서는 지난해 12월 공개모집을 통해 선정된 31개 강의와 신규로 추가 개설된 7개 강의를 포함해 총 38개 강의가 개강한다. 특히 이번 학기에는 영남대학교와 경일대학교가 첫 강의를 개설하며 대구·경산권 15개 협약 대학이 모두 참여하게 돼 대학 간 연대와 지역 상생의 의미를 더했다.도심캠퍼스 사업은 학점 인정 강의 비율을 70%까지 높이며 지난해 56개 과정·11개 교과목에서 올해 57개 과정·41개 교과목으로 확대됐다. 대표적인 학점 교류 강의인 ‘대구경북지역학’은 역사·문화·산업 분야 전문가 특강과 현장학습을 통해 학생들에게 지역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공하는 인기 강좌로 자리 잡았다.강의는 도심캠퍼스 1·2호관 및 지역대학협력센터에서 진행된다. 1호관에서는 ▲한국문화와 대구지역이해(경북대) ▲로컬크리에이터 창업사례연구(계명대) ▲캐릭터비즈니스(영진전문대) 강의가 열리고, 2호관에서는 ▲외식창업 시뮬레이션 실습(대구과학대) ▲미술의 이해(대구보건대) ▲SMART 뷰티케어(대구한의대) 등이 개설된다. 또 ▲ABB융합 로컬크리에이터 양성(수성대) ▲취·창업 실무연계 프로젝트(경일대) 등 실제 창업 역량을 강화하는 강의도 운영된다.시는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열리는 ‘2025 대구·경북 대학페스타’에서 도심캠퍼스 성과를 시민과 공유할 예정이다. 이 기간 동안 17개 대학이 참여하는 대학별 대항전과 댄스·가요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학생과 시민, 상인이 함께하는 지역 대학 축제의 장을 펼칠 계획이다.이은아 시 대학정책국장은 “도심 속 대학 강의는 학생들에게 특별한 학습 경험을, 도심에는 새로운 활력과 변화를 제공한다”며 “지역과 대학이 함께 만들어가는 열린 캠퍼스를 통해 배움·소비·문화가 공존하는 상생 모델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