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의 철강산업이 글로벌 공급 과잉과 미국의 50% 고율 관세라는 이중고에 직면한 가운데, 이강덕 포항시장이 미국 워싱턴 D.C.를 찾아 철강산업 활로를 위한 외교 행보에 나섰다.이 시장은 지난 2일(현지시간) KOTRA 북미지역본부와 글로벌 정책자문사 DGA Group을 잇달아 방문, 한국 철강산업의 어려움을 설명하며 관세 완화 필요성을 적극 피력했다. 그는 “철강산업 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과 K-스틸법 제정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미국의 고율 관세는 근본적 해결이 어렵다”며 “국제적 연대와 외교적 협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이 시장은 먼저 KOTRA 워싱턴 무역관에서 *이금하 북미지역본부장을 만나 “지역 우수기업들의 북미 시장 판로 확대를 위해 코트라의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철강 관세 인하를 촉구하는 공식 건의서를 전달했다.DGA Group에서는 한·미 FTA 협상에 참여했던 저스틴 맥카시, 패트릭 케이시 파트너와 면담했다. 이 자리에서 이 시장은 “포항은 한국 철강산업의 심장이자 한·미 경제협력의 상징 도시”라며 “동맹국 간 신뢰를 기반으로 공정한 무역환경을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맥카시 파트너는 “한국은 미국 경제와 안보에 필수적인 동반자”라며 “DGA 네트워크를 활용해 정부와 의회를 상대로 설득하겠다”고 답했다. 케이시 파트너 역시 “미국은 조선·철강산업 재건 과정에서 한국기업과의 협력을 기대한다”며 포항시와의 협력 의지를 밝혔다. 이 시장은 지난 1일 백악관 앞 캠페인에 이어 2일 국회의사당 앞에서 버지니아한인회(회장 김덕만)와 함께 한국 철강업계의 현실을 알리며 여론전에 나섰다.포항시는 이번 워싱턴 방문을 계기로 철강 관세 인하를 공식 건의하고, KOTRA·DGA와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 앞으로도 중앙정부 및 해외 유관기관과 공조해 철강산업 경쟁력을 회복하고 지역경제 안정을 견인한다는 계획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