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 추도식 일본 측 추도사에 조선인 노동자 동원의 강제성이 제대로 담기지 않았다고 보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참가하지 않기로 했다. 한일이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에 대한 의지를 다지고 있지만 역사문제에 있어선 일본의 태도에 변화가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정부 관계자는 4일 "올해 추도식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쟁점은 올해도 일본측 추도사였다. 이 관계자는 "한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다는 것이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했다"면서 "노동의 강제성에 관한 구체적 표현에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불참 배경을 설명했다.정부는 고인이 된 사도광산 한국인 노동자에 대한 합당한 애도가 있으려면 그 고난의 근원과 성격이 무엇이었는지 언급해야 한다고 봤으나 일본 측이 제시한 표현 수위는 이에 미치지 못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협의 과정에서 일본은 강제성 표현과 관련한 여러 표현을 가져와서 논의 테이블에 올렸으나 한국이 참석을 결정하기에는 충분치 않았다고 한다.이 관계자는 "한국인 노동자의 넋을 기리고 유가족의 아픔을 위로하는 방향으로 온전하게 개최되도록 적극적으로 일본 측과 협의했다"면서 진지한 협의에도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고 전했다.일본이 오는 13일 추도식을 개최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정부는 이견을 해소하고 참석 준비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이날 오전 일본 측에 불참 결정을 통보했다. 일본 측은 이를 경청했다고 이 관계자가 전했다.정부는 올해 일본이 주관하는 추도식에 참석하기 어려워진 만큼 유가족들에게 한국 자체 추도식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자체 추도식의 시기나 규모 등은 유동적이지만 올해 가을 중 사도섬에서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사도광산 추도식은 일본이 지난해 7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면서 한국이 조선인 강제노동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반영할 것을 요구하자 한국 측의 협조를 얻기 위해 약속한 사항이다.    그러나 일본은 지난해 첫 추도식을 준비하면서도 행사 이름과 추도사 등에서 한국 측과 큰 견해차를 보였고, 결국 11월24일 사도시에서 열린 추도식은 한국 유족과 정부 관계자들이 빠지면서 '반쪽짜리' 행사가 됐다. 한국 측은 이튿날 사도광산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별도의 추도 행사를 열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