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교육청 소속 공무원은 지난 설 명절 휴가비가 제때 나오지 않자 ‘다른 공무원은 받았는데 우리는 왜 안주는가’라며 의아해 했다. 이는 대구시교육청이 이번 설 명절 휴가비를 다른 기관보다 몇일 늦은 연휴 이틀 전인 1월 31일 지급했기 때문. 2009년의 경우 5일전, 2010년은 9일전에 지급했다. 대구시교육청 재정복지과는 예금이자를 한 푼이라도 더 받기 위해 지급일을 늦췄다. 지급액 378억원을 2.3%이율로 6일 더 예치한 결과, 1429만원을 벌었다. 이뿐만이 아니다. 학교운영비는 학교에서 자금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에 따라 분기별로 석 달 동안 쓸 자금을 미리 주던 것을 한달씩 나눠 주고 있다. 학교는 1%수준의 이율인 보통예금으로 묶여있는 경우가 많다. 이를 2.3% 이상 정기예금으로 묶어놓고 한 달 치씩 나눠 주면 올해에만 2971만원의 이자수입이 더 늘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잠시 거쳐 가는 자금을 모아두는 세입세출외현금도 관련부서에 지급 일자를 확정해 달라고 사정, 한달 이상만 되면 정기예치를 하고 있다. 이를 경우 450만원의 이자가 늘어난다는 것. 이렇게 지급방법을 달리한 것만으로 연간 4850만원의 추가 이자수입이 예상된다. 또 2009년에 비해 2010년에 학비가 많이 부족하게 들어온 10개 학교를 대상으로 수업료 잘 받기 현장지도에도 나서고 있다. 무조건 안 들어온 학교를 살피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정을 감안해 그 이전보다 적게 들어온 학교를 선정했다. 이와함께 3월에 세입담당직원 연수를 통해 세입금을 모두 다 받은 학교 담당자가 직접 노하우를 전해주는 시간을 마련, 받아야 할 돈은 잘 받도록 연수할 계획이다.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교육청이 이자수익을 올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부족한 교육재원을 확보하려는 노력은 당연한 일이다. 땐땐바우 대구시교육청의 이같은 행정이 어떤 성과를 낼지 주목받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