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사이버가정학습 학습자수가 15만명이 넘어서는 등 큰 인기를 끌고 있다.
10일 경북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4월말 기준 월합계 15만5711명이고 1일 평균 학습자 수는 5190명에 이른다.
사이버가정학습은 지난 2004년 정부가 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대책을 발표함에 따라 2004년 9월 대구, 광주, 경북교육청이 시범 운영으로 처음 실시했다.
현직교사와 학부모튜터가 사이버상에서 학생들과 1대1로 학습관리 및 상담, 수준별 학습콘텐츠, 핵심요약 및 문제풀이 동영상, 평가 등을 제공한다.
경북도교육연구원은 사교육비 절감과 지역계층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사이버가정학습 시스템과 진단처방학습관리 시스템, 화상상담 시스템을 교육과학기술부와 공동으로 개발해 2009년 시험운영했다.
이후 2010월 4월에 전면 서비스를 시작, 그해 12월에 경북사이버가정학습 시스템 기능강화사업을 했고 2011년 3월부터는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경북사이버가정학습(lms.gyo6.net)의 서비스 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이다. 초등학교 저학년 및 고등학생은 각시도에서 자체 개발한 콘텐츠를 시도 공유하여 제공하고 있다.
4월말 현재 경북사이버가정학습의 가입율은 초등학교 93.35%, 중학교 69.74%이다. 이중 14만1364명의 학생이 학급지원형, 교사지원형, 자율학습형 학급에 수강 신청, 경북사이버가정학습에서 제공하는 527개의 콘텐츠를 활용하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농산어촌, 저소득층 학생들의 지역계층간 교육격차 해소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학생들의 올바른 학습습관 형성 및 학습동기 부여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개별화된 맞춤형 학습 실현을 통해 학생들의 학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에 도움도 된다"며 "향후 명품 경북교육의 견인차로 우뚝 서길 기대한다”고 말했다.김구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