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재 주요기업들의 경기전망이 지난해 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5개월 만에 기준치를 넘어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 3월 전망치가 106.1를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5개월 만에 기준치(100)를 넘어선 것이며 지난해 4월 이후 최고치다.
BSI가 100 이상이면 경기가 전달에 비해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은 것을 의미하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전경련 관계자는 "제2차 그리스 구제금융안이 통과됐고 미국 경제지표들도 다소 개선되고 있다"며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발효에 대한 기대감 등이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부문별로는 자금사정(99.1)과 재고(103.0)를 제외한 내수(113.5)와 수출(105.9), 투자(100.7), 고용(102.7), 채산성(105.0)이 긍정적으로 전망됐다.
업종별로는 경공업(115.9), 중화학공업(108.7) 등 제조업(110.3)과 서비스업(100.4) 모두가 지난 1월에 비해 호전될 것이란 응답이 많았다.
이에 앞서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도 제조업의 2월 업황 BSI가 80으로 지난 1월에 비해 2 포인트 상승했다.
그러나 이같은 추세가 계속 이어질 것인지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전망치(100.6)와 기업 규모를 고려한 가중 전망치(100.5)가 모두 기준선을 간신히 넘겼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2월 기업경기실사지수 실적치는 92.2로 지난해 4월 이후 줄곧 기준선 100을 밑돌았다.
부문별로는 고용(102.3)을 제외한 내수(98.2), 수출(99.1), 투자(99.1), 자금사정(98.6), 재고(107.5), 채산성(95.7)이 모두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경공업(85.5), 중화학공업(95.6) 등 제조업(93.5)과 서비스업(90.4) 모두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