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8일 전력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김치냉장고 등 가전제품의 효율 1등급 기준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제품인 냉난방설비와 전력저장장치(ESS) 등을 에너지 효율관리 대상으로 추가 지정했다.
지경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생활밀착형 에너지 효율향상 4대 중점과제'를 선정하고 발표했다.
이번 종합대책 발표는 정부와 업계가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해 에너지를 적게 소비하는 시스템을 확산하고 전력사용량을 지속적으로 줄여 나가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에너지 효율이 좋은 제품의 보급이 확산되면 소비자는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국가적으로는 에너지가 절약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경부는 4월부터 시스템 에어콘(EHP)이 기존의 고효율인증 대상에서 효율등급표시 대상으로 바꾸고 정부의 융자지원, 공공기관의 납품혜택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냉장진열대, 인터넷데이터센터(IDC)용 서버·스토리지 등도 효율등급표시 대상으로 지정했다.
또 김치냉장고, 전기세탁기, 식기세척기, 전기밥솥 등 주요 가전제품의 효율 1등급 비율을 현행 30~60% 수준에서 10%대로 축소한다.
백열전구의 경우 최저소비효율 기준이 대폭 강화돼 2014년부터는 저효율의 백열전구가 시중에서 사라진다.
이 밖에 올해 478억원을 투입해 공공기관의 전구 등을 발광다이오드(LED)로 교체하고 전통시장의 조명 및 소상공인의 광고간판 교체를 지원키로 했다.
지경부는 이번 종합대책을 통해 120만㎾의 전력피크를 억제하고 오는 2015년께 100만㎾급 원전 2.3기에 해당하는 전력피크 억제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홍석우 지경부 장관은 "당분간 전력공급 여력이 부족하여 힘든 상황이지만 민관이 힘을 모아 지속적인 에너지절약 활동과 함께 제품의 에너지 효율을 제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홍 장관은 또 "기업인들은 제품의 에너지 효율향상을 위해 투자를 확대해 세계 최고 수준의 제품을 개발하고 정부는 에너지 효율향상 기반조성과 고효율제품 보급 인센티브를 늘려 민관이 협력해 절전문화와 에너지 저소비형 시스템을 확산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