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제유가 급등에 대한 뾰족한 묘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기업들이 공동물류를 비용절감 해법으로 보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9일 유통·제조 분야 화주기업과 물류기업 471곳을 상대로 실시한 '공동물류에 대한 인식과 애로점' 조사를 발표하고 응답자 절반인 50.6%가 '공동물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공동물류는 노동력, 수송수단, 보관설비, 정보시스템, 도로 등 물류활동에 필요한 제반 사항들을 복수의 사업자가 공유하는 것이다. 자동차로 치면 '카풀'과 유사한 개념이다. 업종별로는 물류기업(70.1%)이 제조(45.7%), 유통(36.1%) 화주기업보다 물류공동화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중소 운송기업들은 업종 특성상 물류원가의 40~50% 이상을 연료비에 지출하는데 최근 유가상승과 과당경쟁으로 경영에 압박을 받고 있다"며 "이를 타개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공동물류의 필요성을 더 부각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대한상의는 공동물류 효과로 '물류비 절감'이 63.0%로 가장 높았고 '업무 효율 향상(23.0%)', '서비스수준 향상(7.0%)'이 뒤를 이었다. 공동물류는 수배송 부문에서 '물류센터 등 시설 보관(41.7%)'과 '유통가공(10.3%)' 등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기업들은 공동물류화 확산을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정책으로 자금지원(61.3%)이 가장 많았으며 세금감면과 규제완화 등 인센티브(46.0%), 시범사업과 매뉴얼 보급(42.0%) 순이다.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녹색경영 패러다임과 고유가 시대를 맞아 공동물류의 보급·확산은 선택이 아닌 필수과제"라며 "특히 중소물류기업 간 공동물류는 기업 영세성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정부가 더 관심을 갖고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뉴스1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