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에 이어 민주노총 소속 전국건설노동조합(건설노조)도 27일 총파업에 들어갔다.
화물연대에 이어 건설노조마저 공동파업에 들어감에 따라 물류대란과 공사현장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건설노조는 이날 오전 7시부터 △건설노동자 체불임금 해결 △4대 보험 적용 △적정 임대료 책정 △표준 임대차 계약서 의무작성 등을 정부에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했다.
건설노조는 1660억원에 달하는 건설현장 체불임금이 건설노동자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고 타워크레인 등 27개 건설기계 근로자들은 고용주들이 표준임대차계약서를 명확히 작성해주지 않아 기계임대료 체불에 시달리고 있다며 정부에 문제해결을 요구했다.
건설노조 관계자는 "이번 파업에는 조합원 2만9000여명과 상당수 비조합원이 참여할 것"이라며 "인천 아시안게임경기장, 세종시 택지조성사업, 원주 기업도시 공사현장 등 공사현장에서도 철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내 건설노동자가 약 200만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파업에 참가한 2만9000명은 1.5%에 불과하다.
그러나 파업 참가 조합원 가운데 1000여명이 타워크레인 운행을 담당하고 있어 공사작업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체 관계자는 "타워크레인 1대당 목수와 자재운반 등 공사장 인력 100여명이 배치되는 게 관례"라며 "이번 파업으로 타워크레인 1000대가 멈추면 공사장 인력 10만명이 공사작업에 손을 놓는 상황이 발생한다"고 우려했다.
그는 또 "이번 파업이 임금체불에 따른 파업이기 때문에 비노조원 참여도 늘어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건설노조는 또 28일 서울광장에서 조합원 2만여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결의대회를 열어 정부를 압박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국토해양부는 건설노조의 총파업 철회를 촉구했다.
국토부는 또 건설노조의 현장점거 및 공사방해행위에 대해 엄정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토부는 파업 이전에 건설노조와 대화를 통해 건설현장 문제에 대한 해법을 논의했으며 기계임대료 체불문제 해소를 위해 올해 4월부터 장비대금지급확인제도를 실시하고 임대료 지급을 보증기관이 보증하는 임대료지급보증제도 도입방안도 검토중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노조가 적정한 임대료 수준 보장을 요구하고 있지만 이는 시장경제 원칙에서 어긋나 수용하기 힘들다"며 "그러나 적정 임대료가 지급될 수 있는 방안은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화물연대 파업이 사흘째로 접어든 가운데 전국 주요 물류거점이 물동량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