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50년까지 항공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30% 줄일 계획이다.
이를 산림면적으로 계산하면 우리나라 전체 산림의 4분의 1인 150만 헥타르(약 45억평)를 새로 조성하는 것과 같다.
정부는 이를 위해 해마다 항공기 연료효율을 1.3% 개선해 오는 2020년에는 국적 항공기 연료효율을 세계 최고수준으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항공부문 온실가스 감축 중장기 계획을 수립했다. 또한 계획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비행단계별 10개 세부 감축 추진전략을 마련했다.
국토부는 국내 항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난 2010년 1600만톤이지만 항공운송사업이 급속히 성장해 오는 2020년에는 2096만톤, 2050년에는 3500만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항공산업 온실가스 배출량이 이처럼 급증할 것으로 보여 정부는 항공업계가 온실가스 감축활동을 펼치지 않을 경우 환경파괴는 물론 온실가스 대체비용을 항공사와 국민이 부담할 수 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오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예상배출량을 30% 감축해 항공부문 온실가스 1052만톤을 감축할 것"이라며 "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산림으로 환산할 때 우리나라 산림면적(약 640만ha)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산림을 새로 조성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이같은 계획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오는 2020년 국내 항공기의 연료효율은 RTK당 0.28리터로 국제민간항공기의 연료효율 목표치 RTK당 0.30리터를 앞서는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RTK(Revenue ton kilometer:유상운송실적)은 항공사가 승객과 화물을 수송한 실적으로 해당구간의 유효하중(kg)에 거리(km)를 곱해 산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