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예상을 깨고 기준금리를 3.25%에서 0.25%p 낮춘 3.00%로 결정했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조치는 글로벌 금융위기 한복판에 서있었던 2009년 2월이후 41개월만에 처음이다.
이로써 지난해 7월이후 계속되온 금리 동결은 13개월만에 종지부를 찍었다.
12일 오전 금통위는 정례회의를 열고 7월 기준금리를 3.25%에서 3.00%로 0.25% 인하한다고 전격 발표했다.
이번 결정은 시장의 예상보다 한박자 빠른 것으로 주식시장과 채권시장 등 금융시장에 적잖은 충격이 예상된다.
한은의 전격적인 인하 결정은 세계의 경제 흐름을 쫒아간 것으로 풀이된다.
유럽중앙은행과 중국인민은행이 지난 5일 기준금리를 각각 0.25%p 인하한 것이 직접적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기준금리를 인하한 중국 인민은행은 또다시 금리를 낮출 것이란 얘기까지 흘러 나오는 상황이다.
또 미국의 경기부진에 따른 3차양적완화(QE3) 가능성 소식도 이번 결정에 힘을 보탠것으로 분석된다.
세계 주요 국가들이 앞다퉈 '경기부양' 에 뛰어든 상황에서 우리나라만이 나홀로 1년 넘게 금리를 고집할 경우, 중앙은행인 한은이 위기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내적으로는 5월 수출 규모가 1년새 0.6% 감소하는 등 수출경기가 둔화된 점도 인하요인으로 작용했다.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인하와 함께 미국의 QE3가 본격 진행될 경우, 해외자본이 국내로 밀려오면서 원화절상 압력이 높아져 수출경제에 타격을 줄수 있다는 점도 고려됐다.
그러나 이번 인하 결정은 가뜩이나 불안감이 커지는 물가와 가계빚 문제에 적잖은 고민을 던져줄 전망이다.
국내 물가상승률은 2%대로 떨어졌지만 기대 인플레이션율이 두 달째 3.7%로 여전히 높다.
체감물가도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국제유가가 상승세로 반전할 가능성도 있다.
전체 가계빚이 1000조원에 육박하는 가운데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은행 대출액이 100조원에 이른다.
정부는 가계부채 문제를 연착륙시키기 위해 연일 프리워크아웃(사전채무조정), 저신용자 신용등급 세분화 등 강도높은 대책을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이번 금리 인하 결정으로 가계부채 연착륙은 더욱 쉽지 않게 됐다는게 전문가들의 우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