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2%대로 떨어질 것이 확실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현재까지 국내외 연구기관이나 투자사들의 전망을 종합해보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사실상 3%대는 물건너갔고 2%대 후반 사수도 버거워 보인다. 최악의 경우 1%대로 곤두박질칠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최악의 상황에 대비, 정부가 어떤 대책을 내놓을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 분기 실질 GDP는 전분기 대비 0.3% 성장하는데 그쳤다. 이는 속보치(0.4%)보다 0.1%p 낮은 수준이다. 한은 측은 건설업과 제조업의 부진이 예상보다 심해 속보치보다 잠정치의 성장률이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당초 예상과 달리 하반기 경제여건도 녹록치 않아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3%대 달성은 힘들어 보인다. 신제윤 기획재정부 차관도 최근 "경기의 회복속도가 더디다"면서 "3(3%)이라는 숫자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부 역시 3%대 전망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 국내외 연구소와 기관들은 성장률을 2%대로 하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가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을 3%에서 2.6%로 내려잡았다. 이에 앞서 한국경제연구원과 현대경제연구원은 당초 전망치보다 각각 0.6%p, 0.7%p 낮은 2.6%, 2.8%로 내다봤다. 국책연구소인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성장률 하향 조정을 눈 앞에 두고 있다. KDI는 이달 중 중간보고서를 통해 기존 전망치(3.6%)에서 대폭 끌어내린 2%대 후반의 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KDI가 상-하반기 정기적으로 보고서를 발표하는 것 외에 중간보고서를 내는 것은 2009년 이후 처음이다. 박재완 기재부 장관은 "예비비가 2조4000억원 정도 있어 추경을 검토할 단계는 아니다"며 "민간부문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는 쪽으로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경제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