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도시와 농촌간 소득 격차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3일 농림수산식품부와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 소득은 도시근로자 가구 소득의 59.1%에 그쳤다. 이 비중이 60% 아래로 떨어진 것은 처음이다.
1980년대 중반까지 농가 소득은 도시근로자를 웃돌았다. 농가 소득은 1985년 도시근로자의 112.8%를 기록한 이후 1995년 95.7%, 2000년 80.5%, 2005년 78.2% 등 하락세를 보였다.
소득 격차가 계속 벌어진 이유는 도시가구의 소득은 증가하는데 농가 소득은 정체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도시근로자의 가구 평균 소득은 5098만원으로 2005년(3902만원)에 비해 31% 늘었다. 하지만 같은기간 농가 소득은 3050만원에서 3015만원으로 되레 줄었다.
농가의 소득감소로 가계상태도 적자 상태에 다다랐다. 농가경제수지(농가의 소득 대비 가계비)는 1995년 1.47에서 지난해 1.08까지 떨어졌다. 농가경제수지가 1에 가까울 수록 적자에 근접했다는 것이다.
이는 농산물 가격은 별로 오르지 않는 데 반해 원가 부담은 급증한 탓이다. 쌀의 경우 판매가격(2등품 80㎏ 기준)은 2000년 15만7000원에서 지난해 16만원으로 거의 변동이 없었다. 하지만 요소비료의 가격(20㎏)은 같은기간 5300원에서 1만1000원으로 두 배 이상 올랐다.
이 같은 상황에 전문가들은 정부가 농업의 대형화와 기업화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농가의 소득을 증대를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은미 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전체 농가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중소 농가의 소득을 높이기 위해 직거래 확대, 농산물 가공 지원 등 다각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