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대표 이석채)는 17일 서울 광화문 올레스퀘어에서 콘텐츠 생태계 발전을 위해 1000억원의 펀드를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KT는 생태계와의 동반성장을 위한 '뉴 딜' 5가지 전략을 밝혔다. △콘텐츠 제작 지원을 위한 1000억원 펀드 조성 △콘텐츠 제작을 위한 효율적인 제작인프라 지원 △등용문 확대와 오픈 정책 강화 △콘텐츠 제작자 커뮤니티 운영과 글로벌 진출 지원 △거래조건 혁신 및 선정위원회 설립 등이다.
이석채 KT 대표는 "성장 가능성이 높은 가상재화(Virtual Goods) 유통을 미래 전략으로 삼아야 한다"라며 "콘텐츠 창작자들과 끼있는 젊은이가 아이디어만으로도 콘텐츠를 제작하고 해외 수출까지 가능하도록 5가지 방향으로 동반성장 전략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KT는 이를 위해 3년 안에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영상 콘텐츠와 애니메이션, 게임, 뮤직 등 콘텐츠 제작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 회장은 "매출의 2%를 기금으로 내놓겠다"며 "매출액이 증가하면 기금도 늘 것이며 기술혁신을 추구하며 원가를 절감해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류에 관심있는 투자자나 기업들을 적극 유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콘텐츠 제작의 문턱을 낮추기 위해 기존의 올레 미디어 스튜디오를 최대한 공개하고 더 나아가 제2스튜디오를 건립할 예정이다. 3D카메라 등 제작 도구도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IPTV 내에 신인 등용문 전용 채널을 마련해 참신한 아이디어로 제작된 콘텐츠를 선보이고 프리미엄 존을 신설해 시청률이 높은 중소채널사업자에게 배정할 계획이다.
더 나아가 인력난을 겪는 중소 업체를 위해 필요한 전문가를 소개하고 매칭해주는 웹사이트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KT가 운영하고 있는 한중일 앱마켓 교류 프로젝트인 오아시스(OASIS)를 통해 우수한 앱 콘텐츠를 소개하고 앱 형태로 이용 가능한 콘텐츠의 경우 글로벌 진출도 가능하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KT는 채널사업자(PP)와 콘텐츠사업자(CP)들의 창작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현재의 거래조건 관행을 개선할 계획이다.
현재 KT는 시청률을 토대로 채널사업자에 채널사용료를 지급하고 있으며 채널사업자는 KT에 외선망 임대료를 지급하고 있다. 이를 일률적으로 적용하지 않고 각 채널사업자의 특정에 맞도록 거래조건을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CP와 PP, 전문가단으로 구성된 채널선정위원회를 설립하고 위원회의 의견을 바탕으로 수익와 자본을 배분하겠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콘텐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5가지 약속을 통해 젊은이들이 도전할 수 있는 무대와 창의적 일자리를 만들어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도록 돕고 국가적으로 새로운 사업기회와 성장동력을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익이라는 것을 정태적으로 계산하는 손해나는 일이다"라면서도 "이익 목표와 매출 목표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전망을 갖고 앞으로 전개될 세상에 대응해 왔기 때문에 KT가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선정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