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론 지연입금제도 등 '보이스피싱 피해방지 종합대책'이 시행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보이스피싱 범죄가 기승을 부리면서 당국이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25일 금감원에 따르면 1~8월중 월평균 보이스피싱 피해금은 60억원(551건)으로 전년도 월평균 피해금 85억원(687건) 보다 29.4%(19.8%)감소했다.
최근 텔레뱅킹(전화 금융거래)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발생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피싱사이트도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사기범들은 인터넷뱅킹 대신에 텔레뱅킹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피싱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8~9월중 텔레뱅킹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피해사례는 32건(4억원)으로 피해자의 대부분은 50~70대의 자영업자·고령층으로 분석됐다.
피싱사이트를 이용한 사기행위도 근절되지 못하고있다. 피싱사이트에 의한 피싱 피해 건수는 9월중에만 122건, 8억8000만원으로 집계됐다.
피싱사이트 차단건수는 지난 6월 920건에서 7월 280건, 8월 284건으로 대폭 줄었으나, 9월들어 20일기준 300건을 기록하는 등 다시 증가세를 띄고 있다. 국민은행과 농협의 홈페이지를 모방한 피싱사이트가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금감원은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을 위해 공인인증서의 재발급·사용절차를 강화하는 방안을 준비 중이다.
우선 25일부터 각 은행에서 시범적으로 시행하는 '전자금융사기 예방서비스'를 신청할 경우 공인인증서 재발급 및 1일 누적 300만원 이상 인터넷뱅킹을 통한 자금 이체시 사전지정PC, 휴대폰인증 등 본인확인 절차가 강화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전화를 통해 카드번호와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경우는 100% 피싱이라고 보아야 한다"며 "인터넷뱅킹을 이용할 때도 정상적인 주소인지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