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5% 이상 이자를 주는 정기예금 상품이 시중은행에서 씨가 말랐다.
또한 4% 이상의 정기예금이 전체 은행권 수신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대로 쪼그라드는 등 한국은행의 기준금리이나 이후 초 저금리기조가 본격화되고 있다.
3일 한국은행의 '예금은행 금리수준별 여수신 비중' 자료에 따르면, 2012년 8월 말 현재 신규취급액 기준 평균 수신금리는 연 3.19%다.
이는 기준금리(연 3.0%)를 겨우 웃도는 수준이다.
나아가 연 4% 이상 정기예금의 비중은 8월 말 현재 1.6%에 불과했다.
지난해말 32.4%에 달했던 4% 이상 정기예금 상품 비중은 올들어 1월 28.5%, 2월 21.5%, 3월 23.9%, 4월 20.7% 등 20%대를 유지했다.
그러나 5월 들어 13.0%로 내려앉은뒤 6월 8.8%, 7월 4.1%, 8월 1.6%로 급전직하했다.
특히 5% 이상의 이자를 쳐주는 정기예금의 올해 8월 말 비중은 '제로'였다.
현재 시중은행에서 우대이율을 제하고 연 4% 이상의 금리를 주는 상품은 산업은행의 KDB다이렉트 Hi정기예금(4.05%)이 고작이다.
전문가들은 "은행이 돈을 마땅히 굴릴 곳이 없어 고금리 상품을 내놓지 못한다"며 "조만간 4%대 정기예금 비중도 0%대에 진입할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