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4월15일 하루에만 2200명 넘게 숨지고 8월까지 미국에서 8만명이 사망할 것이라는 보고서가 공개됐다. 30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워싱턴대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4월 2째주가 코로나19 확산의 정점이 될 것이라며 4월15일 하루에만 미국에서 2271명이 사망할 것이라고 전
이탈리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사망자가 1만명을 넘어섰다. 존스홉킨스대 확산 지도에 따르면 28일(현지시간) 기준 이탈리아에서의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수는 1만23명으로 집계됐다. 전 세계 누적 사망자 2만9848명의 3분의 1 이상이 이탈리아에서 나온 것이다. 이탈리아 내 누적 확진자는 9만2472명으로 11만246
세계보건기구(WHO)는 27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4종의 안전성과 효능을 비교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공동 실험에 첫 환자들이 등록한다고 밝혔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백신은 여전히 적어도 12~18개월은 걸린다"며 "우리는 환자를 치료하고 생명을 구하기 위한 치료제가 시
27일(현지시간) 이탈리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망자가 9000명을 넘어섰다. 하루 만에 천 명 가까운 사람들이 또 목숨을 잃었다. 이탈리아 보건당국은 이날 자국 내 코로나19 사망자가 모두 9134명으로 전날보다 969명 늘었다고 발표했다. 일일 사망자 증가치로는 또 다시 최대 수준을 찍었다. 누적 확진자는 8만6498명으로
보리스 존슨(55) 영국 총리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존슨 총리는 27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지난 24시간 사이 나는 약한 증상이 나타났고 코로나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았다"며 "현재 자가격리 중이다"며 "우리가 이 바이러스와 싸우고 있는 만큼 나는 화상 회의를 통해 정부 대응을 계속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
미국이 중국을 뛰어넘어 세계 최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가가 됐다. 전 세계 코로나19 통계를 실시간으로 전하는 미 존스 홉킨스대 코로나 리소스 센터 사이트(https://coronavirus.jhu.edu/map.html)에 따르면, 27일 오전 6시 37분 현재(한국시간) 미국의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총8만2404명으로 세계 1
25일(현지시간) 이탈리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망자가 7500명을 넘어섰다. 누적 확진자 수는 7만4000명을 돌파해 중국을 바짝 따라잡고 있다. 이탈리아 보건당국은 이날 자국 내 코로나19 사망자가 총 7503명으로 전날보다 683명 늘었다고 발표했다. 누적 확진자는 전날보다 5210명 증가한 7만4386명으로 집계됐다.
이탈리아 정부가 24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령을 위반한 이들에 대한 벌금을 높이기로 했다. 주세페 콘테 이탈리아 총리는 이날 코로나19 긴급 조치를 어길 경우 400~3000유로(약 53만~404만 원) 사이의 벌금을 물릴 것이라고 밝혔다고 CNN, 가디언, 블룸버그 등이 전했다. 현재 이탈리아에서 봉쇄령 위반에 따
미국 뉴욕 증시는 24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관련 미국 정부가 추진 중인 대규모 재정 부양책에 대한 기대로 폭등으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112.98포인트(11.37%) 상승한 2만704.91에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2만선 회복과 함께 1933년 이후 최
이탈리아에서 신종 코로나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만에 6600여명이 증가했다. 코로나19가 발병한 이래 역대 최대 일일 증가율이다. AP통신에 따르면 이탈리아 보건당국은 21일(현지시간) 자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전일 대비 6557명 증가한 총 5만3578명으로 발표했다. 사망자는 이날 793명 늘어나 모두 4825명으로 집계됐다.
미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전 세계 모든 대사관과 영사관에서 일상적인 비자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중단한다. 미 국무부는 20일(현지시간) "코로나19 팬데믹과 관련 모든 미 대사관과 영사관에서 일상적 비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어 "대사관과 영사관은 이날 기준으로 모든 일상적 이민·비이민 비자 예약을
이탈리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망자가 4000명을 넘어섰다. 누적 확진자는 5만 명에 달한다. 이탈리아 보건당국은 20일(현지시간) 기준 자국 내 코로나19 사망자가 전날보다 627명 늘어 총 4032명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일일 사망자 증가치로 전날을 기점으로 중국을 추월했다. 누적 확진자는 전날보다 5986명
미국 정부가 19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자국민의 해외 여행을 전면 금지시켰다. 미 국무부는 이날 여행 경보 웹페이지를 통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여행 경보를 최고 수준인 4단계(여행 금지·Do Not Travel)로 올린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영향으로 인해 미국인들에게 모든 국제 여
이탈리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인한 사망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탈리아는 16일(현지시간) 코로나19 사망자 숫자가 하루 만에 349명이 증가한 총 2158명으로 늘어났다. 1000명 돌파 4일만에 2000명을 넘어서며 급증하는 추세이다. 지난 2월21일 이탈리아 북부 도시 파두아에서 78세 남성이 처음으로 코로나19 때문
미국이 5년 만에 제로(0)금리 시대를 열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공포가 시장을 집어삼키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경기 부양책에도 뉴욕증시는 기록적인 수준으로 대폭락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 지수는 약 3000포인트, 13% 급락하며 1987년 '검은 월요일(블랙 먼데이)' 이후 최악의 하루를 보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제로' 수준으로 인하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5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응책으로 기준금리를 '제로' 수준인 0~0.25%로 전격 인하하는 긴급 조치를 발표했다. 연준은 지난 3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한 데 이어 또 다시 1%포인트 안팎의 추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대책으로 한국발 여행객의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국가가 131개국으로 늘어났다. 14일 외교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 금지 및 제한 조치를 취한 국가·지역은 총 131곳이다. 유엔 회원국(193개국) 67%가 입국 관련 규제를 취한 셈으로 에리트리아, 우크라이나, 벨리즈
이탈리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에 3497명이 늘었다. 14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보건당국은 이날 오후 6시(현지시간) 기준으로 전날 보다 3497명이 증가해 누적 확진자가 2만1157명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탈리아에서 일일 신규 확진자가 3000명을 넘은 것은 이날이 처음이다. 사망자는 175명 늘어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국가 비상사태를 선언했다. AP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3시 백악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국가 비상사태를 공식 선언한다"면서 "이번 선언으로 주(州)와 지방정
세계보건기구가 11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에 대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pandemic)을 선포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지난 2주간 중국 이외 지역의 코로나19 확진 사례가 13배 늘었고 영향 받은 국가의 수도 3배가 됐다"며 "114개국에서 11만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