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발효 후 2년간 대구지역의 대미 교역규모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16일 대구상공회의소에 따르면 한미 FTA 발효 2년간 대구지역의 대미 교역규모는 발효 전에 비해 21.1% 증가했다. 이 중 수출은 15억9천800만 달러에서 18억3천600만 달러로 14.9%, 수입은 5억2천400만 달러에서 7억3천500만 달러로 40.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수출품목 대부분이 FTA 발효로 수출액이 늘었는데 특히 대미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기계류가 발효 2년간 10.8% 증가했다. 반면 섬유류는 4.4% 감소했다. 이는 섬유류의 관세가 대부분 15년에 걸쳐 장기 철폐되기 때문에 발효 초기에는 효과가 미미했던 것으로 분석됐다.수입은 기계류의 수입이 303.4% 증가했는데 이는 발효 1년차에 항공기부품 수입이 급증(281.0%)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반면, 그동안 대미 수입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농림수산물은 42.7% 감소했다. 한미 FTA 발효 후 2년간 미국으로부터의 투자유치는 245만9천 달러에서 4천108만8천달러로 18배 가까이 확대됐다.     대구상의가 지역 주요 대미수출기업 38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미 FTA가 ‘기업경영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기업이 전체의 78.9%를 차지했다. 이 이유로는  이는  FTA 관세 혜택에 따른 가격경쟁력 제고가 45.2%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대미 수출량 증대(35.5%), 미국산 원·부자재 수입으로 제품원가 절감(9.7%) 순으로 나타났다. 또 미국에 수출하면서 FTA를 활용한다고 응답한 기업이 전체의 76.3%에 달해 지역 수출기업은 한-미 FTA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지역 수출기업들은 한-미 FTA 활용 촉진을 위해 ▲미국 시장 개척을 위한 바이어 발굴 및 시장 정보 제공(36.4%) ▲원산지 관리 전산시스템 구축(25.0%) ▲거래기업간 원산지 증빙서류(원산지 확인서 등) 제공 의무화 방안 마련(15.9%)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대구상의 관계자는 “한-미 FTA 발효 3년차를 맞아 FTA 관세 인하폭이 확대되고 미국 경기도 회복세에 있는 만큼 FTA를 잘 활용하면 대미 수출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하면서 “수출 후에는 각종 원산지 증빙서류를 보관해 최근 강화되고 있는 사후 검증에도 철저히 대비해야 된다”고 당부했다.류상현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