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 혁명 관련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본격 추진된다. 29일 '4·19 혁명 유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등재 및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는 4·19 기록물을 올해 문화재청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후보로 올리기 위한 대외 활동을 최근 시작했다고 밝혔다. 위원회에는 앞서 5·18 기록물 유네스코 등재 추진위원회 이사장을 역임한 김영진 전 농림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고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장상 전 총리 등이 이사로 참여하고 있다. 정근식 서울대 교수와 서중석 성균관대 명예교수, 홍석률 성신여대 교수, 4·19 묘역이 소재한 서울 강북구 등도 위원회 활동을 돕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심사는 2년 단위로 이뤄진다. 문화재청이 오는 7∼8월 국내 등재 후보를 공모해 2건을 선정, 유네스코에 신청하면 유네스코가 심사를 거쳐 2017년 5∼6월 등재 여부를 발표한다. 위원회는 우선 내달 6일 국회에서 유네스코 등재 추진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열어 4월 혁명 기록물의 역사적 가치와 등재 추진 방안을 논의한다. 위원회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2010년 정리해 펴낸 '4월 혁명 사료 총집'에 포함된 기록물 원본을 중심으로 당시 현장 사진과 4·19 관계자들의 구술 채록 등을 등재 후보로 올릴 방침이다. 사료 총집에는 사건 일지와 정부·국회·정당 기록, 신문기사, 부상자 실태 조사서, 재판기록, 각종 선언·성명, 수기·일기, 외국기록 등이 포함돼 있다.  현재 4·19 관계자 103명의 구술 채록을 마친 위원회는 남은 채록에 박차를 가하고, 시민들에게 당시 일기장 등 관련 기록물 원본 기증을 독려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4·19 혁명의 세계사적 의미와 국제 학생운동에 미친 영향 등에 대한 학술 연구 용역 작업도 마무리할 방침이다. 4·19 혁명은 지난 1960년 이승만 정권의 3·15 부정 선거에 항의하며 전국 대학생들이 주축이 돼 일으킨 반독재·비폭력 학생운동이다. 우리나라 헌법이 '대한민국은 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하고'라는 문구로 시작될 만큼 민주주의 기틀을 다진 계기로 평가된다. 이인수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