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문제가 장기화되고 있다. 세계 각국들이 저출산 문제로 다양한 정책을 쏟고 있는 지금 한국도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결혼부터 임신, 출산, 산후까지 다양한 형태의 출산율을 올리기 위한 정책이 마련돼 있으나 그 효과를 크게 보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은 현재 세계 200여 개국 가운데 최하위에 속하는 219위로 1.25명의 출산율을 보이고 있다. 출산율이 저조한 이유로는 청년층의 취업과 저임금,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결혼 상대자의 눈높이, 맞벌이 등 다양한 이유가 내포돼 있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특히 기혼자들 사이에는 자녀의 양육문제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손꼽힌다. 출산 이후부터 소요되는 비용이 만만치 않은 점은 물론, 학업성취에 대한 경쟁으로 인한 사교육 등 성장과정에 필요한 비용, 맞벌이로 인한 자녀의 양육의 어려움, 장래의 불안한 사회적 환경 등이 걸림돌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저출산 문제에 대해 각계에서는 다각도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저출산문제를 해결하는데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이러한 한국의 저출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인 요소도 필요하지만 출산장려를 위한 정책 외적인 요소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 올림픽 같이 해마다 출산율이 높은 지역에 출산율 순위별 인센티브를 제공해 축제를 열어 준다든지 지역민들의 단합에 대한 공로를 인정해 주는 정부의 지원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미혼남녀 간의 결혼문제를 민간기업 등에 떠넘겨 놓을 것이 아니라 정부차원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좋은 자리를 마련해 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향후 대한민국의 미래는 청년들의 노력과 역량에 달려 있는 만큼 출산율 높이기는 반드시 성사되어야 할 요소임에 정부의 사회보장제도의 강화와 국민들 각자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임위혁 사회부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