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겨울철 한국은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이례적으로 높아지는 엘니뇨 발달 영향으로 평년보다 따뜻하고 강수가 특히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른 재해 우려로 재난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겨울철에는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많이 발생했는데 그러면 주택에서는 어떻게 화재에 대비하면 좋을까? 상주소방서에서는 연초부터 기초수급 대상자를 대상으로 화재발생시 초기에 진화 할수 있는 소화기와 연기를 감지해 화재를 경보하는 단독형감지기를 보급하고 있으며. 더불어 1가정 1소화기 갖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또한 마을에 대한 관심과 애착있는 주민을 명예소방관으로 위촉하여 화재없는 안전마을을 조성하는 한편, 연중 주택 소방안전점검을 시행하고 있다.  그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주택화재예방을 위해 가정용 소화기 비치는 필수인 점을 상기하고 화재예방을 위한 몇가지 행동요령을 숙지하기로 하자.   첫째,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을 금지한다. 여러개의 전기 플러그를 접속시켜 사용하지 않고 정기적인 전기안전점검과 사용하지 않을때는 반드시 플러그를 뽑아두어야 한다. 둘째, 음식물을 조리할 때는 장시간 자리를 비우거나 외출을 하지 않도록 한다. 부득이하게 외출을 할 경우 가스콕크를 잠그고 정기적인 가스누설 여부를 점검하도록 한다.  화재는 사전에 예방하여야 하고 발생시에는 빠른 진압이 필요한데  이런 시민의 관심과 주의가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고 소방안전의식을 향상시켜 화재예방저감을 위한 초석으로 삼을수 있다. '우리집 소화기 1개, 경보기 1개는 생명을 구합니다'의 문구처럼 시민들께서도 자기가정의 행복은 자기가 지킨다는 생각으로 주택화재예방에 만전을 기하여 주실 것을 당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