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의 대리운전 사업이 본격화된다.  카카오가 대리운전사업에 진출하면 연간 1000억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로서는 본격적인 수익모델을 기대할 수 있지만 대리운전업계는 큰 지각변동에 휘말릴 것으로 전망된다.  카카오는 7일 대리운전 앱 '카카오드라이버'의 기사용 버전을 선보이며  대리기사 회원 모집을 시작했다.  상반기 중에 일반 승객용 앱을 출시하며 대리운전 사업을 정식으로 벌인다.  카카오는 신규 O2O(온오프라인연계) 서비스 '카카오드라이버'의 기사용 안드로이드 앱을 7일 출시하고 기사회원 등록 접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카카오드라이버 대리기사 신청은 2종 보통 이상의 운전면허를 취득하고 운전경력 1년 이상이면 누구나 가능하다.  대리기사는 경력, 지역, 법인 소속 여부에 관계없이 운전자 개인 자격으로 신청할 수 있다.  다른 대리운전 서비스 업체에 가입해 있더라도 카카오드라이버 기사로 등록하는데 제한이 없다. 카카오드라이버 대리기사로 등록하려면 구글플레이에서 앱을 내려받은 후 안내에 따라 개인 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카카오는 기사용 앱 출시와 함께 카카오드라이버 기사와 관련한 기본 정책을 공개했다. 가장 관심을 모은 운행수수료는 전국 20%로 통일했다. 그동안 대리운전기사들은 운행요금의 20~40% 수수료를 대리운전업체에 납부해왔다. 이에 더해 연평균 100만원 이상의 보험료와 월 4~5만원 가량의 대리운전 프로그램 사용료를 별도로 부담해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