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13일 프랑스에서 테러단체(IS)에 의해 약 132명이 사망하고 350여명이 부상을 당하였으며, 11월 20일에는 말리호텔 인질테러로 인질 19명과 테러범 2명이 사망한 것으로 언론을 통해 알려졌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해 IS에 가담한 김군 사례와 외국인 거주자중 IS추종자가 있는 게 밝혀졌으며 금년에는 인천공항 폭발물 협박사건 등으로 국내에서도 테러의 위협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할 것이다. 정부 각 부처는 협조해 테러관련 정보수집과 인적·물적 취약점 제거 등 테러대비활동을 강화하고 유사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국민의 일상생활에 일부 불편을 끼칠 수 있으나, 안전을 위해서는 함께 감수해야 할 몫으로 생각을 해야 한다. 아직까지도 우리에겐 테러라고 하면 설마 하는 국민도 있을 수 있다. 자칫 잘못하면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누를 범 할 수 있다. 우선 국가중요시설, 다중이용시설의 시설주와 함께 경찰, 군, 지자체 등 관계기관은 적응태세를 갖추고 대국민 홍보활동을 병행하여야 할 것이다.  평상시 시설주는 취약개소를 없애고 직원들 상대 임무별 예방활동을 생활화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활동을 전개해야 하며, 관계기관인 경찰, 지자체 등에서는 지도점검, 간담회, 모의훈련 등을 통해 미비점을 보완해 사전 예방활동과 테러발생시 피해복구에 신속히 대응해야 한다. 국민 개인의 일상에도 안전활동을 생활화 할 수 있도록 변화를 주어야 한다. 예를 들면, 계절에 맞지 않은 복장이나, 멀쩡한 가방이 공공장소 쓰레기통, 벤치 등에 주인 없이 버려져 있는 경우, 낯선 사람에게 온 우편물이나 반송주소가 없는 경우 등은 의심을 해야 하고, 여행시 테러 위험지역은 자제, 사이버테러 예방을 위해 개인정보 누출방지 등 꼼꼼함이 안전으로 바뀌는 순간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가 계속적으로 테러 청정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인·정부 나아가 글로벌 테러와의 대응력을 강화하여야 한다는 점을 국민 모두가 상기해 주었으면 좋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